산업연구원, 내년 성장률 2.5%… “민간소비 둔화”
서대웅 기자
2,095
공유하기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5%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산업연구원은 ‘2017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지만 올해 성장을 주도하던 건설투자의 빠른 증가세가 진정되면서 2.5% 내외의 성장을 보일 것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2% 후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올해 성장률전망치보다 낮은 수치다.
올해 경제성장을 견인했던 건설투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구조조정의 여파로 민간소비가 둔화되면서 경제성장이 둔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산업연구원은 세계 경제 성장세가 다소 높아지고 유가 상승으로 단가 하락세가 진정되면서 수출은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종별로는 조선·철강·섬유·가전·정보통신기기의 글로벌 공급과잉 현상이 내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조선은 구조조정 여파로 건조물량 취소와 해양 프로젝트 인도 연기·취소로 인해 13.1%의 높은 감소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철강은 보호무역 강화와 중국시장 축소 지속 등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자동차는 주요 수출시장인 신흥시장 경기침체 지속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미국 시장 할부판매 비용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IT 제조업 수출은 가전을 제외한 산업에서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가전은 중국 업체들의 브랜드 및 기술 경쟁력 강화로 5.0% 감소하는 가운데 정보통신기기(4.5%), 디스플레이(2.5%), 반도체(4.3%)에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연구원은 내수와 관련해서도 대부분 산업에서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실물경기 부진 및 소비심리 위축, 건설투자 성장 둔화, 설비투자 위축 등의 이유로 기계 산업군, 소재 산업군에서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했다.
산업연구원은 “개별소비세 인하, 에너지 효율 1등급 가전 구매 지원 정책 등 내수 진작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부가·유망 신산업 부문으로의 충분한 투자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27일 산업연구원은 ‘2017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지만 올해 성장을 주도하던 건설투자의 빠른 증가세가 진정되면서 2.5% 내외의 성장을 보일 것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2% 후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올해 성장률전망치보다 낮은 수치다.
올해 경제성장을 견인했던 건설투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구조조정의 여파로 민간소비가 둔화되면서 경제성장이 둔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 |
/자료=산업연구원 |
산업연구원은 세계 경제 성장세가 다소 높아지고 유가 상승으로 단가 하락세가 진정되면서 수출은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종별로는 조선·철강·섬유·가전·정보통신기기의 글로벌 공급과잉 현상이 내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조선은 구조조정 여파로 건조물량 취소와 해양 프로젝트 인도 연기·취소로 인해 13.1%의 높은 감소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철강은 보호무역 강화와 중국시장 축소 지속 등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자동차는 주요 수출시장인 신흥시장 경기침체 지속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미국 시장 할부판매 비용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IT 제조업 수출은 가전을 제외한 산업에서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가전은 중국 업체들의 브랜드 및 기술 경쟁력 강화로 5.0% 감소하는 가운데 정보통신기기(4.5%), 디스플레이(2.5%), 반도체(4.3%)에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연구원은 내수와 관련해서도 대부분 산업에서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실물경기 부진 및 소비심리 위축, 건설투자 성장 둔화, 설비투자 위축 등의 이유로 기계 산업군, 소재 산업군에서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했다.
산업연구원은 “개별소비세 인하, 에너지 효율 1등급 가전 구매 지원 정책 등 내수 진작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부가·유망 신산업 부문으로의 충분한 투자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