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사진=뉴시스 DB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사진=뉴시스 DB
향후 주택시장 핵심 변수로 ‘입주 물량’이 거론된다. 2017년~2018년 78만여 가구의 아파트 입주가 예상되면서 단기(2년) 물량으로는 1기 신도시가 조성된 1990년대 이후 최대이기 때문이다.

2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입주 물량 쏠림이 가장 많을 것으로 전망되는 ‘2017년 7월~2018년 2월까지’ 8개월 월평균 입주물량은 3만8899가구다.


2016년의 월 평균 입주물량이 2만4311가구였던 점을 감안하면 1.6배 많은 수준이다. 특히 2017년 12월은 4만9662가구가 입주할 예정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후 월간 기준으로는 가장 많은 물량이다.

또 2017~2018년의 24개월 중 월간 4만 가구 이상 입주하는 시기는 5번으로 이 또한 역대급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2017년 7월~2018년 2월까지’ 8개월 동안 입주물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 총 12만5735가구가 예정됐다. 게다가 해당 시기 인천(2만904가구)과 서울(1만2723가구)도 1만가구 이상 입주물량이 예정돼 총 15만9362가구가 수도권에서 쏟아진다.

지방에서는 ▲경남(2만8212가구) ▲경북(2만141가구) ▲부산(1만7918가구) ▲충남(1만7799가구) ▲대구(1만2495가구) 순으로 1만가구 이상 입주물량이 예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