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탄핵 기각시 의원 총사퇴 결의… "인용되면 반대한 새누리 의원들 사퇴해야"
장영락 기자
4,640
공유하기
![]() |
바른정당 탄핵 기각시 의원직 총사퇴. 사진은 오신환 바른정당 대변인. /자료사진=뉴시스 |
바른정당이 탄핵 기각시 의원직 총사퇴를 결의했다. 바른정당은 어제(12일) 당사에서 워크숍을 가진 뒤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기각된다면 탄핵을 추진한 책임을 지고 (32명 의원 전원이) 의원직을 총 사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오신환 대변인은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필승전략 집중 워크숍' 최종결과 브리핑을 열어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오 대변인은 "바른정당은 헌재의 어떠한 탄핵결과에도 승복할 것이고 만약 탄핵이 기각된다면 탄핵을 추진한 책임을 지고 의원직을 총사퇴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반대로 탄핵이 인용된다면 탄핵에 반대한 새누리당 의원들도 책임정치 차원에서 의원직을 사퇴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 대변인은 의원직 사퇴가 당론으로 정해진 것인지 묻자 "당의 입장"이라고 답했다. 또 "(이날 불참한) 권성동 의원 입장과 상관없이 여기 있는 65명 중 50명, 단 한명도 반대를 안했다"고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는 바른정당 소속 국회의원과 시도지사, 시도당 원외의원장, 당협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오 대변인은 범보수 후보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국정농단 세력과의 연대는 없다. 새누리당과 당대당 통합도 없다. 바른정당은 우리 당 후보로 대선을 치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바른정당은 13일 당 최고위에서 경선관리위원회 구성안을 의결한 뒤 본격적인 경선 체제로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바른정당은 최근 대선주자로 나선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의원이 지지율에서 별다른 반등을 보이지 못하며 고전하자 새누리당을 포함한 범보수 통합론이 제기되는 등 대선 후보 선출을 두고 혼란을 겪고 있다. 특히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사퇴한 뒤,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한 김무성 의원의 재출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