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차병원 조주영 교수팀,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 임상 결과 발표
허주열 기자
3,456
공유하기
![]() |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 조주영 교수. /사진=차병원 |
조주영 교수팀은 지난 2015년 3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의뢰되어 정밀검사를 시행한 환자 424명을 분석한 결과 15.8%(67명)가 식도위접합부 유출장애(Esophagogastric junction outflow obstruction, EGJOO)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산이 식도 내로 역류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하다. 서구에서는 인구의 10~30% 정도가 앓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서구화된 식생활,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진단은 가슴쓰림, 목 이물감, 마른기침 등 전형적인 증상이 있으면서 약물치료에 증상이 호전되면 임상적으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료법은 위산억제제를 복용하는 것으로 환자의 약 10~20%는 약물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하며 이런 경우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분류한다.
식도위접합부 유출장애는 음식이 식도에서 위로 넘어가는 길목인 식도위접합부가 잘 열리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열리는 질환이다. 식도위접합부가 느슨해지는 위식도 역류질환과는 증상은 비슷하지만 병이 생기는 원리와 치료방법이 다르다.
식도위접합부 유출장애의 진단을 위해서는 고해상도 식도내압검사(High resolution manometry, HRM)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 약 280만명의 환자가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대다수의 환자들이 치료제를 장기간 복용하고 있어 정확한 진단을 통해 불필요한 의료재정 지출을 막을 수 있다.
조주영 교수는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속쓰림, 목 이물감 등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잘못된 치료를 장기간 유지하는 일을 피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