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채권단 경영평가 'D' 불복… “특별한 목적 하에 이뤄진 부당결정”

금호타이어가 주주협의회(채권단)의 경영평가에 불복해 이의제기했다. 앞서 채권단은 지난 7일 금호타이어의 지난해 경영평가 등급을 ‘D’로 확정해 통보했다.

금호타이어는 이에 10일 “채권단이 통보한 경영평가 D등급은 특별한 목적 하에 이뤄진 부당하고 인위적 결정”이라며 “이에 대해 불복하고 정식으로 이의를 제기한다”고 밝혔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산업은행은 현재 진행 중인 금호타이어 매각과정 중 금호타이어의 2016년 경영평가 점수 산출 기준을 갑자기 변경 추진하려고 한 바 있다”며 “이것이 무산되자 공시실적에 근거한 경영계획 달성도 평가를 전례 없이 외부 평가기관을 동원해 임의 조정하려해 금호타이어와 마찰을 빚어 왔다”고 말했다.

금호타이어는 워크아웃 기간인 2012년과 2013년 경영평가에서 B등급을 받았고 2014년 워크아웃을 졸업했다. 워크아웃 이후 특별약정에 따라 경영평가를 실시하는데, 2015년에는 D등급을 받았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2015년에는 노동조합의 39일 간의 무리한 파업이 이어져 저조한 실적을 보여 D등급을 받게 됐다”고 말했다.


금호타이어가 지난해 경영평가에 불만을 가지는 부분은 ‘정성적 평가’다. 경영평가는 경영계획 달성도 70점과 정성적 평가 30점으로 이루어지는데 금호타이어의 정성적 평가는 경영계획 달성도에 비해 주관적 판단의 여지가 많은 부분이다.

금호타이어 지난해 경영계획 달성도에선 전년(42.4점)보다 높은 59.2점을 받았는데, 정성적 평가에서는 전년(18.1점)보다 크게 떨어진 10.6점을 받았다.


금호타이어는 산업은행이 금호타이어의 경영평가 등급을 D(총점 70점 미만)에 맞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정성적 평가 점수를 낮췄다고 의심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지난해 금호타이어의 경영계획 달성도를 고려할 때 정성적 평가점수는 최소한 전년 점수 이상이 돼야 한다”며 “산업은행은 그동안 금호타이어 매각 과정에 있어 상표권 미 협조시 경영평가 등급을 D등급으로 평가해 경영진을 교체할 수 있다고 언급해 경영 평가의 신뢰도를 스스로 낮췄다”고 주장했다.

이한섭 금호타이어 사장은 “산업은행의 금호타이어에 대한 인위적인 경영평가 점수 는 금호타이어 경영진에 대한 명백한 명예훼손이며 이에 불복하며 등급 재조정을 위한 이의제기 및 모든 법적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금호타이어, 채권단 경영평가 'D' 불복… “특별한 목적 하에 이뤄진 부당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