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사태' 박기영 교수, 청와대 "과와 공 함께 평가받아야"
김나현 기자
2,363
공유하기
![]() |
박기영 교수. 박기영 황우석 사태.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10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열린 과학기술계 원로 및 기관장과의 정책간담회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사진=뉴시스 |
청와대는 10일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명 논란에 대해 "임명 취지에 대해서 널리 이해를 구하며 과학기술계의 의견을 경청하겠다"며 즉각 임명을 철회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7시 청와대 춘추관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의 인사 문제로 걱정을 끼쳐드려서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박 대변인은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다'는 부분은 문재인 대통령의 직접적인 메시지라고 전달했다. 문 대통령은 박 본부장 임명에 대한 과학기술계와 시민사회단체 논란이 커지자 참모진 논의를 거쳐 왜 이러한 인선을 했는지 배경을 설명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박 본부장은 황우석 교수 사건 당시 과학기술보좌관이었기 때문에 그 사건에 대한 무거운 책임이 있다. 그리고 그 책임을 지고 과학기술보좌관직에서 물러난 바도 있다"며 "하지만 모두 아시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IT 분야와 과학기술 분야의 국가경쟁력은 참여정부 시절 가장 높았다. 그 점에서 박 본부장은 공도 있었다. 그의 과와 함께 공도 평가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박 대변인은 "그때 참여정부는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R&D) 예산 배분이 경제 부처로부터 독립해 과학기술계 중심, 연구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판단으로 과학기술부 장관을 부총리로 격상하면서 과기혁신본부를 신설했다"며 "그러나 이것이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가운데 정권이 바뀌고 폐지됐기 때문에 과기혁신본부의 위상과 역할, 기능은 아직 충분히 정립되지 않았고 운영의 경험도 일천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박 본부장은 참여정부 때 과기 부총리제와 과기혁신본부 신설 구상을 주도한 주역 중 한 명이다. 그래서 그의 과가 적지 않지만 과기혁신본부에 적임이라고 판단했다"며 "뿐만 아니라 과기혁신본부장은 그가 오래 전에 했던 과기본부장과 같은 급의 직책이고 더 나은 자리도 아니라는 점을 또 고려했다. 그를 임명한 이러한 취지에 대해서 널리 이해를 구하며, 이에 대한 과학기술계의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역설했다.
한편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참여정부 당시 황우석 교수 사건으로 사퇴한 인물이 참여정부 근무 경력으로 다시 임명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라는 질문에 "과도 있지만 공도 있다는 것이다. 과를 공이 덮을 수 있다. 인사권자가 공에 대한 부분으로 이렇게 임명했다고 말씀하는 것"이라며 "과거 인사 재등용이란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할 수밖에 없었음을 지금 국민께 정성껏 드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박 본부장 이외에는 대안이 없었는가'라는 질문에는 "과학기술본부 신설에 대한 경험을 가진 인사로 박 본부장이 적임자라 판단했다", '과학기술계와 국민 여론을 보겠다는 청와대 입장에 언제까지 기다리면 되겠는가'라는 질문에는 "하루이틀 경과를 보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