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아베 총리와 통화… "북한에 최고수준 제재·압박 가해야"
김나현 기자
2,591
공유하기
![]() |
文대통령 아베.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청와대 여민1관 소회의실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통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약 20분간 아베 총리와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 대응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전달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통화는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도발 이튿날인 지난달 30일 이후 5일 만으로,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6번째이다. 이날 통화는 아베 총리의 요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해 "한국과 일본 양국은 물론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한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그 규모와 성격 면에서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엄중한 도발"이라는 데 인식을 함께하고 북한의 도발을 강력 규탄했다.
문 대통령은 "금번 핵실험은 과거보다 몇 배 더 강한 위력을 보인 점, 북한 스스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장착용 수소탄이라고 말했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럽다"며 "국제사회와 협력해 지금까지와 차원이 다른,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실질적인 대응 조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양국 정상은 한일 양국, 한미일 3국이 긴밀히 공조하며 북한에 최고도로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우선 보다 강력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 스스로 대화 테이블에 나올 때까지 최고 수준의 제재와 압박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대응을 위한 한일 양국 간 공조를 평가하고 이달 초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의 회담을 포함해 앞으로도 각급 수준의 긴밀한 소통을 계속해 나가기로 약속했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에 대한 (해결) 수단으로 대화를 강조한 적이 결코 없다"며 "국제사회와 함께 제재와 압박을 강하게 해야 하고, 그 결과, 북한이 대화 테이블로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상황에서는 제재와 압박 말고 방법이 없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국제사회와 함께 하는 제재·압박 수단이 돼야 한다는 걸 오늘도 더욱 강조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이 관계자 '강력한 유엔 안보리 결의 추진'에 대해 "원유 공급 중단이나 석유 제품 수출 금지, 북한 노동자에 대한 송출 금지 등이 강력한 제재 조치이자 실제적으로 남아있는 것이 아니겠는가"라며 "이런 것을 다 포함하는 결의안 추진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