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환경연대 "생리대 논란 축소 안돼… 전체 성분 조사하라"
김나현 기자
2,414
공유하기
![]() |
생리대 논란. 지난달 24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열린 여성환경연대 주최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사태 관련 일회용 생리대 안전성 조사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
여성환경연대는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대상 항목이 여전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국한됐다는 점에서 한계가 명확하고, 생리대 부작용을 밝히기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해외 보고서에 따르면 일회용 생리대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뿐 아니라 다이옥신, 퓨란, 잔류 농약, 향류 등이 검출될 수 있다"며 "정부는 생리대 사태를 축소하지 말고 안전한 생리대와 전반적인 여성 건강 대책을 마련하고, 근본적인 생활용품 전반에 대한 점검과 화학물질 관리 체계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만구 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교수는 이날 여성환경연대 실험 결과에 대한 식약처의 입장에 반박했다. 앞서 식약처는 "여성환경연대가 식약처에 전달한 김 교수의 실험 결과는 상세한 시험 방법 및 내용이 없고, 연구자 간 상호 객관적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아 과학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김 교수는 "4년 동안 축적된 ISO(국제표준화기구) 공인 방법으로 실험을 했다. 저 같은 분석 과학자가 새로이 시도해서 만든 방법이 나중에 공인 방법이 되는 것"이라며 "실험 데이터는 정부나 식약처에서 원하면 분석과학회와 같이 토론회를 갖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호 객관적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제 방법은 3월에 식약처에 제공했고 5월 식약처가 참석한 학회에서 발표했다"며 "5월 학회 발표에 식약처 관련자가 있었으면 이야기하는 것이고 그것이 상호 토론"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