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금지법 1년. 사진은 한국전력공사. /사진=뉴시스
청탁금지법 1년. 사진은 한국전력공사. /사진=뉴시스

한국전력공사가 직원과 협력회사 종사자를 상대로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시행 1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대부분이 우리사회 청렴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전에 따르면 청탁금지법의 영향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한전 직원들(총 2만1082명 중 8976명 응답) 중 91.6%가 청탁금지법이 우리사회의 청렴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97.5%는 회사 업무 처리 시 법을 위반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협력회사 종사자(2229명 응답) 중 77.0%가 청탁금지법이 우리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85.3%는 법 시행 후 의식 또는 행동의 변화를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전반적으로 청탁금지법 시행 후 더치페이(각자 내기)의 일상화와 각종 업무의 투명성 증대 등 여러 분야에서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는 응답이 상당했다.


한전은 청탁금지법 시행 1년을 맞아 법 시행의 안정적인 조기 정착을 위해 이달 한 달간 다양한 청렴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전 직원을 대상으로 가상의 청탁금지법 위반 사례를 제시하고 신고서를 작성하는 모의 훈련을 통해 위반 사항 발생 시 지체 없이 신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아울러 청탁금지법 위 반사례(국민권익위원회 제공)를 매일 한 가지씩 1주일간 팝업으로 게시해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스스로 청탁금지법 위반 여부를 체크해볼 수 있는 자가 진단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 직원이 청탁금지법 준수를 약속하는 서약을 통해 청탁금지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성한 한전 상임감사는 "청탁금지법의 성공적인 정착이야말로 사회적으로 청렴 문화를 확산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한전은 청렴이 한전의 문화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