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vs 김진화 가상화폐 두고 설전… 김진화, 유시민 주장에 "노벨상감"
김경은 기자
15,509
공유하기
![]() |
/사진=JTBC '뉴스룸' 캡처 |
유시민 작가가 김진화 한국블록체인협회 준비위 공동대표와 가상화폐를 두고 설전을 벌였다.
18일 방송된 JTBC '뉴스룸'에서는 유시민 작가, 김진화 대표, 정재승 교수, 한호현 경희대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출연해 ‘가상화폐, 신세계인가 신기루인가’라는 주제로 토론을 펼쳤다.
이날 유 작가는 가상화폐를 엄격히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김 대표는 합법화를 통해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 중 유 작가는 “비트코인이 지금까지 화폐가 아니었다면, 미래에 추상적인 암호화폐가 아닌 실제 화폐가 될 수 있냐는 것이다. 실제 거래 수단이 될 수 있느냐는 것”이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김 대표는 “비트코인 진영에서는 이것이 금, 화폐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 적 없다. 법무부가 그렇게 오도를 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을 판 사람들 중 그렇게 될 것이라 강요한 사람이 없다. 법무부에서 주장하고 그렇게 몰아가고 있어 정책적 혼란이 생겨난 것”이라고 답했다.
유 작가는 “비트코인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중앙 통제가 없는 즉각적인 B2B 거래, 세계 어디서나 가능한 결제, 무료 또는 낮은 수수료를 내걸고 있다”며 “하지만 이것은 사기다. 현실적으로 비트코인은 이렇게 이뤄지지 않고 있고 비트코인이 이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은 적다”고 말했다.
이에 김 대표는 “그래서 거래소는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라며 “다만 이미 분산 거래소 기술이 나오고 있어 향후 거래소가 없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지금 기술이 발전하지 않은 과도기라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두 사람은 가상화폐 대책에 대해서도 엇갈린 해법을 내놨다.
유 작가가 “초점은 블록체인과 가상화폐의 분리 여부다. 전 분리된다고 본다”고 하자, 김 대표는 실소를 터뜨리며 “누군가가 분리 기술을 만든다면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김 대표는 가상화폐 투기와 관련해 일본식 규제가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