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전환 없으면 경제하락세 지속”… 前 경제학회장 한목소리
이한듬 기자
1,035
공유하기
![]() |
(왼쪽부터)김경수 성균관대 명예교수, 구정모 CTBC 비즈니스스쿨 석좌교수, 권태신 한경연 원장, 조장옥 서강대 명예교수, 배상근 한경연 전무 /사진=한국경제연구원 |
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전경련 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한 ‘기로에 선 한국경제, 전 한국경제학회장들에게 묻는다’ 특별좌담회를 열었다.
권태신 한경연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국내외 기관이 최근 경제전망을 잇달아 하향조정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실효성 있는 정책개발과 기업환경 개선이 없다면 하반기에도 반등 없이 2% 초반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 1분기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0.4%로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경기가 부진한 데 대해 학회장들은 당분간 이 추세가 유지되거나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48대 회장을 역임한 김경수 교수는 “글로벌 경제가 대침체에 빠졌던 2011년부터 한국경제는 2~3%대로 성장이 둔화되며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급격히 하락했는데 이 추세가 최근 더 강화되고 있다”며 “생산성을 높이지 않는다면 저성장 추세는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 강조했다.
47대 회장인 구정모 교수는 “반도체 호황에 따른 착시와 정치적 실험 및 역량부족이 현재의 역성장의 원인”이라며 “이러한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46대 회장인 조장옥 교수는 경제의 하향화 추세는 적어도 당분간은 막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책의 대전환이 있을 경우에는 내년 후반기나 돼야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정책 대전환은 소득주도성장의 폐기와 시장중심의 성장위주 정책으로의 회귀를 의미한다”고 첨언했다.
올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로는 미·중 무역갈등을 꼽았다. 관세전쟁을 넘어 현재 화웨이 제재 등 글로벌 패권전쟁으로 확전되는 가운데 한국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김경수 교수가 무역전쟁으로 인한 중국 경기 하강의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한 데 이어 구정모 교수는 최악의 경우 중국으로부터는 제2의 사드보복, 미국에서는 관세부과로 미·중 양쪽으로부터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경계했다.
이와 달리 조장옥 교수는 정책 리스크가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대외적으로 가장 큰 현안이지만 현실과 괴리된 경제운용이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정부정책은 고용과 성장 나아가 분배까지 오히려 악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경제활성화 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금리인하에 대해서는 시기가 늦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추경의 정책 효과에 대해서도 학회장들은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금리인하와 추경을 선택하는 배경에 대해 김경수 교수는 “정부가 경기부진의 원인을 생산성 침체가 아닌 경기순환과정 중에 일어나는 경기하강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정모 교수는 “작년과 재작년의 금리인상 시점이 늦어지면서 반년 만에 금리를 인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하며 “올해 상반기에 금리인하가 필요했고 하반기에도 추가적인 금리인하가 예정돼야 했다”고 통화정책의 늑장대응을 비판했다.
한국경제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정책전환을 강조했다. 조장옥 교수는 “현재 1인당 소득이 3만3346달러인데 연 1.84%만 성장해도 2030년 4만달러를 달성할 수 있다”며 “정상적으로 경제를 운용한다면 제조업 르네상스 없이도 2030년 1인당 소득 4만 달러 달성은 어렵지 않다”고 지적했다.
구정모 교수도 “정부주도 고용과 성장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잘못된 정책에 대한 반성과 과감한 정책전환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배상근 한경연 전무는 “지속적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기업과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정책의 대전환과 법제도의 개선이 있어야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한듬 기자
머니S 산업팀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