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마스크 판매정보, 네이버·카카오 지도로 본다
채성오 기자
2,243
공유하기
![]() |
마스크 5부제 시행 이틀째인 10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의 한 약국 앞에 시민들이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뉴스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협력해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 제공을 시작했다.
의약품중복구매방지시스템(DUR)을 이미 구축한 '약국'의 판매현황 정보는 10일 저녁 7시부터 공개됐다. 우체국은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후 이르면 11일부터 마스크 5부제 동참과 함께 판매 현황을 공개할 전망이다. 농협 하나로마트의 경우 각 마트별 상황이 다른 만큼 데이터 공개에 시간이 필요하다.
관련 정보는 이용자가 정보를 획득하는 데 주안점을 두기 위해 민간 개발자가 참여해 보편화된 서비스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고도화한다.
먼저 심평원은 판매처와 판매현황 등의 데이터를 NIA에 제공한다. NIA는 제공받은 데이터를 약국 주소 결합 등으로 재가공한 후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개방형 API로 제공한다. 민간 개발자는 개방형 API를 각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적용해 앱이나 웹페이지 등 다양한 플랫폼에 활용할 수 있다.
포털업계는 주요 이동동선을 보여주는 지도 앱에 관련 API를 활용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지도앱 ‘네이버 지도’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포털사이트 검색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계획중이다. 카카오의 경우 지도앱 ‘카카오맵’에서 관련 정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연동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양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예방 차원에서 빠른 시간내 적용할 예정이다.
해당 서비스가 적용될 경우 약국, 우체국, 농협 하나로마트 등 원하는 지역의 판매처내 마스크 재고량이나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부는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오는 15일까지 추가 검증과 안정화 작업을 거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