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극우매체가 한국 외교부가 중국을 대하는 태도에 문제제기했다./사진=뉴스1
일본 극우매체가 한국 외교부가 중국을 대하는 태도에 문제제기했다./사진=뉴스1
일본 극우매체 산케이신문이 한국 정부가 중국의 역사왜곡에는 항의하지 않고 일본에만 사죄와 반성을 요구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한국 정부가 한국전쟁과 관련해 중국 측과 갈등을 빚은 것을 겨냥한 주장이다.

일본 극우매체 산케이신문의 구로다 가쓰히로 서울주재 객원논설위원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사죄와 반성은 일본 전용, 통렬한 비아냥도…한국 정부는 중국 측의 '역사왜곡'엔 항의 안 한다'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구로다 위원은 "최근 중국에서 한국전쟁 참전 70주년 기념행사가 있었다"며 "이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비롯한 중국 측에서 참전이 제국주의의 침략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는 발언이 나와 한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전쟁 참전을 정당화하는 중국 측의 '역사왜곡'도 문제지만, 그 이상으로 한국 정부가 일본 측을 상대로 할 때와는 달리 중국 측에 전혀 항의를 하지 않는 점에 비판과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로다 위원은 "한국전쟁에서 중국군은 한국에 쳐들어간 북한군을 도와 서울까지 침략했다. 그러나 한국은 북한이나 중국으로부터 한 번도 사과나 반성을 받은 적이 없다"며 "한국이 국교 정상화(1992년) 시기를 포함해 중국에게 책임을 추궁한 적도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한국은 일본에겐 공식 사과와 반성을 받았는데도 이를 계속 요구하고 있다. 원칙이 없고 이중적이다"라며 "일본은 오히려 자신들의 역사 인식에 당당한 중국을 배워야 하는가"라고 글을 맺었다. 


구로다 위원은 일본의 대표적인 우익 성향 언론인이다. 그는 앞서 산케이신문에 '한국 발전은 일본이 남긴 자산 덕분'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은 일본을 참고했다' '한국의 일본 불매운동은 보기 흉하다' 등의 내용을 담은 칼럼을 게재했다. 

외교부는 지난달 28일 입장문을 통해 "한국전쟁이 북한의 남침으로 발발했다는 것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라며 "정부는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