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민지원금 지급을 앞두고 은행을 사칭하는 문자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심지어 사기를 조심하라고 주의 문구를 넣는 등 피싱 수법이 고도화되고 있다./사진=이미지뱅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민지원금 지급을 앞두고 은행을 사칭하는 문자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심지어 사기를 조심하라고 주의 문구를 넣는 등 피싱 수법이 고도화되고 있다./사진=이미지뱅크
최근 문자피싱 등 전자금융사기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달 추석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민지원금 지급을 앞두고 정부 지원 금융 등을 사칭한 문자피싱이 기승을 부린다. 보이스피싱을 조심하라는 주의 문구를 사용하는 수법까지 등장했다. 버젓히 전자금융사기를 마치 정상적인 금융거래인 것처럼 속이는 문자피싱이 기승을 부리면서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대출 지원을 빙자하거나 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문자메시지로 전화를 유도해 수수료 등을 가로채거나 개인의 금융 정보를 빼내 범죄에 사용하는 문자피싱이 다시 늘고 있다.

대부분 자신들이 은행 등 제도권 금융사나 관계사인 것처럼 속이면서 지원대상이나 한도, 신청방법, 유의사항은 물론 대출자형 보이스피싱 주의 등 세부 문구를 사용하며 고객을 유혹하고 있다. 주의 문구는 신용등급 상향 수수료나 대출진행비 등을 요구하면 100% 사기라는 내용이다. 

대출한도는 2억원, 대출금리는 연 2%대 내외, 대출기간은 3년 등 구체적인 조건을 제시한다. 지원 대상은 무이자 지원 대출, 서민형금융센터 전환대출(대환자금, 고용안정자금), 종합통장자동대출(마이너스통장) 등을 열거하며 세부 대상자를 명시하기도 한다.
국민지원금 지급을 앞두고 정부 지원 금융 등을 사칭한 문자 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해당 사진은 문자 피싱 일부./사진=독자 제보
국민지원금 지급을 앞두고 정부 지원 금융 등을 사칭한 문자 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해당 사진은 문자 피싱 일부./사진=독자 제보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문자피싱이 증가하자 소비자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하기도 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대출사기 문자의 일평균 신고건수는 지난해 9월 272건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12월 1064건으로 급증했다.  이후 꾸준히 증가하며 지난 6월 2260건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불특정 다수의 국민들에게 무작위로 대출사기 문자가 발송되고 있다.

문자피싱은 급전이 필요한 소비자들의 절박한 심리를 절묘하게 악용한다. 기존 대출 규모가 크고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취약 차주들이 최근 금융사의 한도 등 대출 규제가 까다로워지면서 돈 빌리기가 더 어려워지자 정부 등 자금 지원을 미끼로 한 문자피싱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은행 등 제도권 금융사들이 지난달 26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계기로 대출금리를 큰 폭으로 인상하면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금융당국에서 금융사들의 신용대출 한도를 연봉 이내로 제한하는 등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돈 빌리기는 더 어려워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은행 등 제도권 금융사들이 직접 고객에게 대출 권유 문자를 보내지 않는다며 문자피싱에 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장은 "금융은 대면거래가 기본이어서 원칙적으로 문자나 전화 등으로 개인정보를 공유하거나 금전을 거래하는 행위는 사전에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자금융사기가 의심되면 거래 전에 정식 대부업체 등록 여부 등을 금융감독원 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에서 확인하고 반드시 해당 회사 대표 번호로 전화하거나 창구를 직접 방문해 문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