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켐, pDNA 백신 생산… "8주면 오미크론 백신도"
김윤섭 기자
5,472
공유하기
![]() |
엔지켐생명과학이 내년부터 pDNA(plasmid DNA, 플라스미드 DNA) 백신을 국내에서 생산·판매한다. 최근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오미크론 대응 백신 개발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사진=엔지켐생명과학 |
엔지켐생명과학은 자이더스 카딜라와의 제조라이선스 기술이전계약을 통해 2022년부터 pDNA 백신을 국내에서 생산·판매한다고 6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자이더스 카딜라와 체결한 제조라이선스 기술이전계약은 국내 최초로 선진 백신인 pDNA 백신의 원액(DS)부터 완제품(DP)까지 기술을 도입해 한국에서 제조하는 계약”이라며 “자이더스 카딜라의 pDNA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에 8주면 대응 백신 개발이 가능한 첨단 기술이다”고 설명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세계 최초로 인도 의약품관리국(DCGI)에서 지난 8월20일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은 pDNA 백신 제조 기술을 이전받아 한국에서 연간 8000만 도스를 생산한다.
엔지켐생명과학은 한국을 비롯해 8개국(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아르헨티나)에 계약기간 3년과 2년 연장의 5년간 독점판매권을 확보했다. 이로써 최첨단 pDNA 백신에 대해 원액(DS)부터 완제품(DP)까지 최초로 한국에서 글로벌 생산 허브 전략을 실행하는 단초를 마련했다.
자이더스 카딜라의 pDNA 백신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 기술로이다. 플랫폼을 바꿀 필요없이 변이의 시퀀스(sequence)만 변경하고 백신의 전체 구조 및 프로세스는 동일하게 유지돼 쉽고 빠르게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 가능하다. 우려 변이인 오미크론의 경우에도 8주면 백신이 준비된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자이더스 카딜라의 샤빌 파텔 대표이사는 지난 1일 “오미크론을 타깃으로 한 새로운 백신에 필요한 충분한 데이터는 없지만 대응 백신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오미크론의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정도에 따라 개발의 필요가 정해질 것이다. 바로 임상으로 가지는 않을 것이지만 DNA 백신 플랫폼은 시퀀스를 쉽게 대체해서 새로운 백신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8가지 변이에 대한 개발을 거의 완료했다. 개발된 후보 중 어느 것이 코로나19의 더 많은 돌연변이를 중화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동물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자이더스 카딜라는 세계 1위 백신 강국인 인도 4위의 글로벌 제약회사다. 인도에서 처음으로 4가 독감백신을 개발하는 등 신약과 백신 부문의 개발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회장은 “자이더스 카딜라와 코로나 백신의 상업화는 물론 차세대 백신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력을 할 것”이라면서 “국내에서 첨단 선진 백신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메이드인 코리아 백신을 제조, 전세계에 수출해 글로벌 백신 생산허브를 구축하고 글로벌 팬데믹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자이더스 카딜라와 체결한 제조라이선스 기술이전계약은 국내 최초로 선진 백신인 pDNA 백신의 원액(DS)부터 완제품(DP)까지 기술을 도입해 한국에서 제조하는 계약”이라며 “자이더스 카딜라의 pDNA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에 8주면 대응 백신 개발이 가능한 첨단 기술이다”고 설명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세계 최초로 인도 의약품관리국(DCGI)에서 지난 8월20일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은 pDNA 백신 제조 기술을 이전받아 한국에서 연간 8000만 도스를 생산한다.
엔지켐생명과학은 한국을 비롯해 8개국(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브루나이, 아르헨티나)에 계약기간 3년과 2년 연장의 5년간 독점판매권을 확보했다. 이로써 최첨단 pDNA 백신에 대해 원액(DS)부터 완제품(DP)까지 최초로 한국에서 글로벌 생산 허브 전략을 실행하는 단초를 마련했다.
자이더스 카딜라의 pDNA 백신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 기술로이다. 플랫폼을 바꿀 필요없이 변이의 시퀀스(sequence)만 변경하고 백신의 전체 구조 및 프로세스는 동일하게 유지돼 쉽고 빠르게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 가능하다. 우려 변이인 오미크론의 경우에도 8주면 백신이 준비된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자이더스 카딜라의 샤빌 파텔 대표이사는 지난 1일 “오미크론을 타깃으로 한 새로운 백신에 필요한 충분한 데이터는 없지만 대응 백신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오미크론의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정도에 따라 개발의 필요가 정해질 것이다. 바로 임상으로 가지는 않을 것이지만 DNA 백신 플랫폼은 시퀀스를 쉽게 대체해서 새로운 백신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8가지 변이에 대한 개발을 거의 완료했다. 개발된 후보 중 어느 것이 코로나19의 더 많은 돌연변이를 중화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동물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자이더스 카딜라는 세계 1위 백신 강국인 인도 4위의 글로벌 제약회사다. 인도에서 처음으로 4가 독감백신을 개발하는 등 신약과 백신 부문의 개발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회장은 “자이더스 카딜라와 코로나 백신의 상업화는 물론 차세대 백신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력을 할 것”이라면서 “국내에서 첨단 선진 백신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메이드인 코리아 백신을 제조, 전세계에 수출해 글로벌 백신 생산허브를 구축하고 글로벌 팬데믹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