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개방이 하루 앞두며 '청와대 관람 티켓'을 보유한 사람들이 중고거래 플랙폼을 통해  웃돈을 받고 티켓을 거래하고 있다. 사진은 9일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에 올라온 '청와대 관람 티켓' 판매글들. /사진=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 캡처
청와대 개방이 하루 앞두며 '청와대 관람 티켓'을 보유한 사람들이 중고거래 플랙폼을 통해 웃돈을 받고 티켓을 거래하고 있다. 사진은 9일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에 올라온 '청와대 관람 티켓' 판매글들. /사진=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 캡처


청와대가 74년 만의 개방을 하루 앞두며 '청와대 관람 티켓'을 보유한 사람들이 웃돈을 받고 티켓을 거래하는 사례들이 잇따르고 있다.


청와대는 오는 10일 정오부터 경내와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를 개방한다. 이번 청와대 개방은 광화문 일대를 넘어 한국 문화·관광지형을 바꿀 정도의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만큼 국민적 관심도 상당하다. 실질적으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실천하는 첫 공약인데다 고려·조선시대 궁궐의 역사까지 포함하면 1000년 동안 닫혀있던 청와대가 일반 대중에 열리는 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당첨자들이 '청와대 관람 티켓'을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웃돈을 받고 거래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옥의 티'로 지적되고 있다.

한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에선 9일 청와대 관람권을 양도한다는 글이 다수 올라오고 있다. 무상으로 '나눔'한다는 글도 있지만 대다수 판매자들은 일정이나 건강, 중복 당첨 등의 이유로 당첨된 티켓을 적게는 1234원에서 많게는 5만원 대에 양도하겠단 의사를 밝혔다. 가격을 협의하겠단 글도 있다.


해당 판매글 중 일부는 이미 '거래완료' 되거나 문의 댓글이 달리는 등 관심도가 높다. 최근 청와대 관람이 화제가 되며 관람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가 지난달 27일부터 관람분 신청을 받으면서 사흘 만인 지난달 29일 기준 108만1565명이 몰렸다. 특히 신청 첫 날엔 접속 폭증으로 사이트 접속이 지연되기도 했다.

인수위는 안전사고 우려 등을 이유로 2시간씩 6494명이 방문, 하루 최대 3만9864명(10일 당일은 약 2만6000명)만 이용하도록 제한했다. 첫 무료 개방 이벤트에선 전체 관람신청 건수의 절반을 밑도는 45만명 수준만 관람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관람 신청에서 미당첨되거나 신청을 놓친 사람들 사이에서 중고로 올라온 티켓 구매를 고려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인기 가수 콘서트나 공연·스포츠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플미'(한정 프리미엄·웃돈) 티켓팔이 현상이 청와대 개방 행사에서도 나타나자 눈살을 찌푸리는 이들이 적지 않다. 무료로 진행되는 이벤트인 만큼 웃돈을 받고 파는 게 적절하지 않다는 게 일각의 입장이다.

이를 두고 인수위가 문제의 원인을 제공했단 지적도 나온다. 사전 신청할 때 신청자 이름과 방문 인원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한 것과 달리 막상 입장할 때엔 별도의 신분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겠다는 안내를 했기 때문이다. 청와대 개방 행사 주최측은 관람권 양도는 가족에게만 가능하고 가족관계증명서 등의 확인절차가 할 수 있다란 입장이지만 정작 이를 제대로 알리진 않았다.


청와대 공식 홈페이지에선 "관람신청 후 당첨된 사람이라면 누구나 올 수 있다"며 "신분증이나 검문수색도 없다"고 안내하고 있다. 또 관람신청 관련 주의사항에서도 "개인 및 단체 관람의 경우 신분증을 보여주실 필요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별도의 개인정보 확인 없이 당첨내역에 올라온 바코드 티켓을 확인받아 손목띠만 발급받으면 입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들은 본인 확인 후 나오는 페이지에 기재된 모바일 바코드는 캡처해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식으로 티켓을 거래하고 있다.

한 관광업계 관계자는 "이번 개방 이벤트에서만 입장인원을 제한하느라 추첨을 했을 뿐 청와대는 앞으로도 무료로 개방하는 문화유산"이라며 "상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단 인상을 남기지 않게 본인확인 절차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