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CEO의 44.6%가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출신이다. / 사진=뉴시스
500대 기업 CEO의 44.6%가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출신이다. / 사진=뉴시스


국내 5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 10명 중 4~5명은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이른바 'SKY' 대학 출신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체 CEO 가운데 여성 비중은 1.7%에 그쳤다.


2일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CEO 659명의 출신 이력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출신은 265명(44.6%)이었다. 10년 전 47.1%에 비해 2.5%포인트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비중이 높다.

학교별 서울대 출신이 136명(22.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려대 74명(12.5%) 연세대 55명(9.3%)으로 2~3위를 지켰다.


지방대 출신은 111명(18.8%)으로 10년 새 3.5%포인트 증가했다. 외국대 출신도 47명(8.0%)으로 0.6%포인트 늘었다.

경기·경복·서울고 등 전통 '명문고' 출신 CEO 비중은 10년 새 22%에서 8.3%로 대폭 줄었다. 1974년 고교 평준화 이후 세대들이 경영 일선에 등장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CEO들의 학부 전공은 3명 중 1명이 경영·경제학이었다. 2012년 209명(33.2%)에서 올해는 209명(36.9%)으로 3.7%포인트 증가했다. 이공계에서는 화학공학·기계공학 출신이 많았다.

오너일가 출신 CEO는 99명(16.2%)으로 10년 전에 비해 8.3%포인트 감소했다. 내부승진자 비중은 328명(53.7%)으로 2.6%포인트 늘었고 외부영입 CEO도 184명(30.1%)으로 5.6%포인트 늘었다.


여성 CEO 비중은 11명(1.7%)으로 10년 전에 비해 0.7%포인트 늘었지만 여전히 미미했다. 지난 10년간 자리를 지킨 여성 CEO는 조선혜 지오영 대표이사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등이다.

대기업 CEO 평균 연령은 59.0세로, 10년 전에 비해 0.8세 높아졌으며 대표이사의 출신 지역은 서울과 영남이 각각 105명(30.3%)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