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값 왜 비싸졌을까… 의류·신발 물가 10년 만에 최대 상승
연희진 기자
4,962
공유하기
|
지난달 의류 물가가 10여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11월 의류·신발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3(2020년=100)으로 전년동월대비 5.5% 상승했다. 2012년 6월(5.6%) 이후 10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항목별로 보면 아동복·유아복(9.6%), 여성 의류(5.4%), 캐주얼 의류(6.0%) 등이 크게 뛰며 의류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의류 세탁·수선 물가는 10.6% 올라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신발 물가도 4.0% 올랐다.
의류 물가 급상승은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원재료 상승 압력이 반영되며 섬유제품 출고가가 올라간 영향으로 분석된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1월 소비자물가동향 브리핑에서 "최근 의류 업계가 가격을 올려 계절 신상품을 출시한 측면이 있다"며 "목면을 비롯한 원재료 가격이 올랐고 (생산지) 중국의 임가공비도 오르면서 원가 상승 부담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류 물가가 오르면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0%를 기록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8% 올라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근원물가는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농산물·석유류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산출하는 지표다. 근원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에너지 가격, 농축수산물 가격 등 외부 공급 요인을 제외하고도 물가가 상승 추세라는 의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연희진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유통팀 연희진입니다. 성실하고 꼼꼼하게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