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소장이식 성공 20주년 기념 심포지엄'이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열린 가운데 20년 전 국내 첫 소장이식 수술에 성공했던 환자 이 모씨와 수술을 집도한 가톨릭의대 명예교수 이명덕 교수(오른쪽)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국내 첫 소장이식 성공 20주년 기념 심포지엄'이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열린 가운데 20년 전 국내 첫 소장이식 수술에 성공했던 환자 이 모씨와 수술을 집도한 가톨릭의대 명예교수 이명덕 교수(오른쪽)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죽도 지금 한 공기씩 먹거든요. 세상을 다 얻은 것 같아요"

2004년 4월28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처음으로 소장 이식 수술을 성공한 후 환자 이모씨(당시 56세)가 음식을 떠 먹은 후 전한 소감이다.


수술 전까지 이씨는 소장과 대장 대부분을 잘라내어 정맥주사로 영양을 공급 받으며 살아왔다. 그러나 조금 남아 있던 장까지 막히는 합병증으로 소장 이식 말고는 더 이상 살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2004년 4월9일 이씨는 딸에게 소장 끝부분 1.5m를 제공받았고, 이를 십이지장과 대장에 직접 연결했다. 소장은 우리 몸에서 큰 면역기관으로 다른 장기에 비해 높은 면역항원성을 지니기 때문에 다른 장기에 비해 면역억제제를 강하게 써야한다. 또 다른 장기에 비해 감염위험성이 높아 고난이도 수술에 속한다.


서울성모병원은 22일 오후 12시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국내 첫 소장이식 성공 2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이씨와 이씨의 수술을 집도한 이명덕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등이 참석했다.

20년 전 치료과정을 함께한 의료진은 이씨의 건강을 기원하며 격려 인사를 전했다. 이에 이씨는 "감회가 새롭고 의료진들을 다시 만나 진심으로 감사하고 앞으로도 건강하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념식에는 괴사성 장염으로 소장을 다 절제하고, 두 살 때 이식을 받은 김모군도 참석했다. 김군의 보호자는 "아이가 태어나고 집보다 병원 생활을 더 오래 했었는데, 교수님이 가족보다 우리 아이를 더 챙겨주시고 보호자까지 세심하게 챙겨주셨다"고 밝혔다.

스물 하나의 나이에 소장이식 없이 살 수 없는 시한부 선고를 받은 한모씨도 참석했다. 한씨는 뇌사자 소장 이식을 무사히 마치고 16년째 건강한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명덕 교수는 "소장이식을 처음 시작 할 때만 해도 의료 선진국에서도 성공하는 사례가 많지 않아 수술 때마다 걱정이 많았고, 단순히 넣고 이어줬다고 해서 이식이 끝난 게 아니다"며 "환자가 주사 끊고 밥 먹고 살 붙는걸 봐야 성공이라 할 수 있어서 수술이 끝나도 환자들이 건강하게 회복되는 날까지 하루하루 마음을 같이 졸였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이 교수는 "장기이식과 관련된 모든 병원 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힘을 보탠 결과"라며 "난이도가 높은 수술에 늘 긴장했지만 환자와 보호자분들이 어려운 과정을 잘 극복해 나가고 건강하게 생활하게 되어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성모병원은 "첫 소장 이식 성공 이후 이명덕 명예교수와 장기이식센터 의료진은 생사의 기로에 선 환자들에 새 생명을 전해왔다"며 "현재까지 서울성모병원 소장이식 건수 18건으로 국내 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