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계통포화 현상 해소 대책을 추진한다. /사진=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가 계통포화 현상 해소 대책을 추진한다. /사진=뉴시스


정부가 호남, 제주, 동해안 등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계통포화(공급과잉) 현상을 조기에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한다. 해당 지역은 계통 수용 용량보다 많은 발전설비가 집중돼 출력제어 상시화가 우려되는 곳이다.


31일 정부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계통 불안정으로 인한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선로 조기 건설을 추진한다. 호남·수도권 융통선로 건설 기간을 1년 단축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조속한 인허가를 위한 지역별 전력계통 협의체도 운영한다.

최근 탄소중립 기조 강화, 에너지 안보 구현 등을 위해 재생에너지가 지속 확대될 전망이라는 게 산업부 설명이다. 송·변전설비 투자계획 확대를 통해 대응하고 있으나 전력망 건설속도가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재생에너지가 집중 보급된 특정 지역에 발전설비가 추가 진입할 경우 계통 안정화를 위한 출력제어가 불가피하다.


정부는 전력망 신설·보강에 시간이 필요한 만큼 우선 기존 전력망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전력망을 선점하고 실제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전력망 알박기 사업자 관리를 강화한다. 계통 안정화 설비를 도입하거나 출력제어를 조건부로 우선 접속을 허용하는 등 유연한 제도 도입에도 나선다.

이를 통해 오는 2027년까지 최대 9.3기가와트(GW)의 여유 용량을 확보하고 후순위·신규사업자에게 배분할 방침이다. 한국전력공사는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계통관리변전소를 공개해 계통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지역으로 발전사업 신청을 유도한다.


이호연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계통포화 현상이 조기에 해소될 수 있도록 전력망 조기 건설과 함께 계통 안정화를 위한 추가 설비 보강 등을 추진할 것"이라며 "향후 지역별 전력계통 협의체 운영을 통해 맞춤형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