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상장폐지 요건 강화에 대한 바이오업계 반응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코스피·코스닥 상장폐지 요건 강화에 대한 바이오업계 반응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S리포트] 상폐 요건 강화되는데… '일단' 안도하는 바이오업계


금융당국이 코스피·코스닥 상장폐지 요건을 강화한다. 상장폐지 요건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일명 '좀비 기업'을 솎아내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바이오업계는 일단 상장폐지 제도 개선방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으나 일각에서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투자자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은 지난달 '상장폐지 제도 개선방안'을 통해 상장폐지에 적용되는 시가총액·매출액 요건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존 시가총액·매출액 요건이 과도하게 낮아 지난 10년 동안 발생 사례가 없는 등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잇따른 탓이다. 밸류업 노력이 없고 성장 가능성이 낮은 기업의 상장을 유지시키는 탓에 증시 경쟁력이 하락한다는 평가도 제도 개선 이유로 꼽혔다.

상장폐지 요건은 코스피와 코스닥으로 구분돼 적용된다. 코스피 기업의 경우 현재 50억원인 시가총액 기준이 2028년 500억원으로 단계적 상향된다. 매출액 기준은 50억원에서 2029년 300억원으로 오른다. 단 매출액 기준은 시가총액 1000억원 미만 기업에만 적용된다. 코스닥 기업의 경우 시가총액 기준은 40억원에서 300억원(2028년)으로, 매출액 기준(시가총액 600억원 미만 기업에 적용)은 30억원에서 100억원(2029년)으로 강화된다.

10년 이상 걸리는데… 신약개발사 '우려' 목소리도

상장폐지 요건 단계별 강화방안. /그래픽=김은옥 기자
상장폐지 요건 단계별 강화방안. /그래픽=김은옥 기자


바이오업계는 우선 상폐 요건 강화를 긍정 평가하는 분위기다. 바이오 벤처들이 주로 상장한 코스닥에서는 기업 가치를 인정받아 시가총액 600억원을 넘긴다면 매출이 부족해도 상장폐지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 기술에 투자하는 바이오 벤처 등은 지금 당장 매출 성과를 내기 어렵지만 현재 개발 중인 기술의 성장성 등을 기반으로 시가총액을 높일 수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시가총액 600억원을 달성하는 경우 매출액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조항은 매출 발생 및 이익 실현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바이오산업의 현실을 고려한 것으로 매우 고무적"이라며 "매출액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본업과 무관한 사업으로 진출하거나 인수하는 사례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상장폐지 기준이 강화된 만큼 장기적으로 봤을 때 신약개발 기업들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반적으로 신약을 개발하기까지 통상 10년이 걸리는데 그사이 잠재력을 인정받아 시가총액을 높이기 쉽지 않아서다. 시가총액이 낮은 신약개발 기업들은 매출액 확보를 위해 개발하고 있던 유망 파이프라인을 다른 업체에 넘겨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긴 호흡을 갖고 신약을 개발해야 하는 기업들의 경우 매출액 요건 강화가 부담스럽게 다가올 수 있다"며 "매출액 기준을 맞추기 위해 건강기능식품 등 지금 당장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업에 뛰어들거나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유망 파이프라인을 매각하는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