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진행된 '회계부정·부당합병' 관련 항소심 선고 공판을 마친 후 법정을 나서고 있다. / 사진=임한별 기자 /사진=임한별(머니S)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진행된 '회계부정·부당합병' 관련 항소심 선고 공판을 마친 후 법정을 나서고 있다. / 사진=임한별 기자 /사진=임한별(머니S)


[S리포트] ③'경영 전념' 이재용, 등기이사 복귀·컨트롤타워 재건 촉각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사법리스크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경영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등기이사 복귀와 컨트롤타워 재건에 이목이 집중된다.


재계는 다음달 열리는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 안건으로 이 회장의 등기이사 선임안이 포함될지 주목한다.

등기 임원은 법인 등기부등본에 등재돼 이사회 활동을 하는 임원으로 주요 결정사안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게된다. 총수의 등기 임원 선임은 책임 경영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긍정적인 요인으로 받아들여진다.


앞서 이 회장은 2016년 10월 임시 주주총회에서 처음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리며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 위기 극복에 앞장선 바 있다. 하지만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사법리스크가 심화되자 2019년 10월 임기 만료 이후 재선임 없이 등기임원에서 물러난 바 있다.

2022년 정부가 광복절 특별사면에서 이 회장의 복권을 결정하면서 취업제한이 해제돼 등기이사 복귀 걸림돌이 사라졌지만 이듬해와 2024년 정기 주총에서 관련 안건이 상정되지 않았다.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 및 회계부정 사건'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이던 상황에서 사법리스크를 고려해 등기이사 복귀 시점을 미룬 것이라는 게 재계의 중론이다.

하지만 1심에 이어 지난 3일 항소심 재판부도 이 회장의 모든 혐의에 무죄를 선고함에 따라 사법리스크가 사실상 완전히 해소됐고 등기이사 복귀 길이 열렸다는 관측이다.

현재 4대 그룹 총수 중 미등기임원은 이 회장뿐이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도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은 "책임 경영을 강화한다는 의미에서 등기이사로 빠른 시일 내에, 적절한 시점에 복귀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컨트롤타워 재건도 관심사다. 삼성의 컨트롤타워는 고(故) 이병철 창업주가 1959년 설립한 비서실을 시작으로 1998년 구조조정본부, 2006년 전략기획실, 2010년 미래전략실 등의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2016년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되면서 2017년 해체됐다.

삼성은 미래전략실을 해체한 후 사업지원(삼성전자), 금융 경쟁력 제고(삼성생명), 설계·조달·시공(ERC) 경쟁력 강화(삼성물산) 등 3개의 TF를 운영해 각 사업을 이끌고 있지만 삼성의 규모를 봤을 때 그룹 전반을 이끌어나가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TF는 그룹 중장기 전략 수립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 있지 않아 사실상 계열사별로 자율경영을 하는 형태여서다. SK그룹이 SK수펙스추구협의회를 운영하고 현대차그룹이 기획조정실을 통해 컨트롤타워 기구를 운영하는 것처럼 삼성도 TF가 아닌 컨트롤타워의 부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대왔다.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도 컨트롤타워 재건 필요성을 수차례 언급해왔다.

이 회장측 변호인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등의 가능성에 대해 "경영에 관련된 것은 저희가 답변을 드릴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