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4월29일(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인종차별에 분노한 흑인들이 폭동을 일으켰다. 사진은 LA폭동 당시 한인 자경단이 지붕 위에서 경비를 서는 모습. /사진=JTBC '세계다크투어' 캡처


1992년 4월29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흑인들이 인종차별에 항의하며 폭동을 일으켰다. 흑백 인종 갈등으로 촉발된 폭동은 한인사회까지 불똥이 튀었다.


격분한 흑인들은 한인타운 거리를 장악했고 혼란 속에 약탈 행위까지 벌어졌다. 한인들은 복수가 아닌 삶의 터전을 사수하기 위해 총을 들고 거리로 나섰다.

불바다 된 LA 길거리... 전말은 경찰 과잉 진압과 편파적 재판?

1991년 3월 LA에서 마약·음주 상태로 과속 주행을 하던 흑인 로드니 킹이 경찰에 적발됐다. 그는 경찰의 정지명령을 무시하고 달아나다 붙잡혀 백인 경찰들에게 무자비하게 구타당한다. 당시 로드니 킹은 강도, 폭행, 절도 전과로 가석방된 상태에서 또다시 범죄를 저지른 것이었고 극렬한 저항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로드니 킹은 이 사건으로 청각장애인이 됐고 해당 장면은 사회적으로 크게 논란이 됐다.

결국 사건과 관련된 경찰 4명이 기소됐다. 그러나 이듬해인 1992년 4월29일 법원은 배심원단 전원을 백인으로 채웠고 이 재판에서 경찰 4명 중 3명이 무죄판결을 받았다. 이에 분노한 흑인들이 시위를 벌이면서 폭동으로까지 이어졌다. 당초 분노의 대상은 백인이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무고한 한인들로 바뀌었다.

애꿎은 한인들에게 화풀이… '루프탑 코리안'의 등장

1992년 4월2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인종차별에 분노한 흑인들이 폭동을 일으켰다. 사진은 LA폭동 당시 폭도들의 공격으로 화염에 휩싸인 한인타운. /사진=tvN '벌거벗은 세게사' 캡처


폭도들은 경찰이 백인 거주지역으로 가는 길을 원천 봉쇄하자 평소 불만을 품고 있었던 한인타운으로 방향을 틀었다. 폭도들이 들이닥친 한인타운은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길거리는 화염에 휩싸였고 유리창이 깨진 가게들은 약탈로 내부가 텅 비었다. 그러나 경찰은 백인 부유층이 사는 지역만 보호하기 급급했고 한인타운은 그 누구의 보호도 받지 못했다.


결국 한인들은 삶의 터전과 목숨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총을 둘러메고 거리로 나섰다. 한국에서 군 복무 경력 있는 예비군 출신들이 중심이 돼 '자경단'을 꾸렸다. 이들은 총기와 탄약을 들고 가게 지붕 위로 올라가 폭도들과 공성전을 벌였다. 옥상에서 폭도들의 공격에 맞선 이들을 '루프탑 코리안'으로 부르기도 했다.

급박한 상황에서도 침착하고 이성적으로 대응한 자경단의 활약으로 한인사회는 그나마 폭동의 피해를 최소화했다. 그럼에도 LA 폭동으로 인한 한인타운의 금액적인 피해는 약 4억달러(약 5700억원)이었으며 점포는 2300여곳이 피해를 입었다. 이는 LA 폭동 전체 피해액의 절반 이상이다. 또 오인 사격으로 19세 한인 청년 이재성군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나는 사고도 있었다.


폭동은 사건의 원인 제공자인 로드니 킹이 직접 나서 "우리 다 같이 잘 지낼 수 없을까요? 이건 옳지 않아요. 아무것도 바뀌지 않아요"라며 기자회견을 열고서야 6일 만에 일단락됐다. 다만 여전히 LA 폭동은 한인들에게 끔찍한 역사다. 현지 한인들은 LA 폭동을 '사이구(4·29)'라고 부르며 아픈 역사를 잊지 않고 인종 간 연대와 화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