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복구에 488억원"… 국가유산청, 순차적 복구 추진
조승희 기자
공유하기
![]() |
국가유산청이 지난 3월 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영남권 국가유산 복구에 소매를 걷어붙인다.
8일 국가유산청은 지난 3월 전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이 총 36건으로 최종 집계됐으며 이에 대한 순차적인 복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1월24일부터 봄철 산불에 대비해 국가유산 재난안전상황실을 운영해왔다. 특히 3월21일부터 영남권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3월25일 오후 5시30분부터 4월9일 오후 5시까지 15일 동안 국가유산 재난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고 긴급 대응에 나섰다.
이 기간 유물 소산, 방염포 설치, 예방 살수, 방화선 구축을 위한 수목 제거 등 긴급 조치를 실시했으며 국가유산청과 지자체 공무원, 문화유산 돌봄단체, 안전경비원 등 인력을 총동원해 피해 확산을 막았다.
4월1일부터는 산불 진화 직후 피해 현장과 주변 상황을 점검하고 유산별 피해 현황을 바탕으로 후속 조치 방안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토사 유출, 산사태 등 2차 피해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도 병행 중이다.
국가유산청은 올해 안에 피해 부재의 수습과 긴급 보존처리, 복구 설계 등 시급한 사항부터 우선 처리하고 2026년부터는 순차적으로 복구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복구 대상은 가치 훼손 정도, 시급성, 추가 훼손 가능성 등을 고려해 문화재별 세부 계획을 수립해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산불 발생 당시 인근 박물관 등으로 긴급 이송된 국보·보물 등 동산문화유산 19건 1556점에 대해서는 소유자 및 지자체와 협의해 원래 보관 장소로의 안전한 복귀를 진행중이다. 자연유산의 경우 '자연유산법'에 따라 병충해 방제, 영양 공급, 가지치기 및 안전 지지대 설치 등을 통해 생육 상태를 개선하고 주요 수종의 자연 복원을 유도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실시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피해 복구에 필요한 예산을 파악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및 지자체와 함께 지난 4월9일부터 16일까지 재난피해 합동조사를 실시했으며 복구에는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총 488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파악했다. 복권기금과 콘텐츠기업 하이브의 기부금도 함께 활용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산불로 훼손된 국가유산이 본래의 가치를 회복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뿐 아니라 풍수해 등 재난이 빈번해지는 만큼 국가유산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