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10년내 우주궤도 핵미사일 60기 확보…골든 돔 필요"
국방정보국, 백악관 골든돔 관련 발표 앞두고 보고서
中, 2035년까지 핵탄두 탑재 ICBM 700개로 늘릴 듯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중국이 10년 이내에 핵탄두를 탑재한 '우주 궤도 미사일' 수십 기를 보유할 수 있다는 미국 정보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미 국방정보국(DIA)은 13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중국·이란·러시아 등 적성국의 미사일 전력을 분석하며 미국의 새로운 우주 기반 미사일 요격 체계 '골든 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러시아보다 중국이 부분 궤도 폭격체계(FOBS)를 활용하는 우주 핵미사일 분야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FOBS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처럼 대기권 내에서 비행하는 전통적인 무기체계와는 달리 미사일을 지구의 저고도 위성 궤도까지 쏘아 올린 뒤 역추진 로켓으로 감속시켜 대기권으로 다시 들어오게 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2035년까지 중국은 이 무기를 60개, 러시아는 12개까지 늘릴 것으로 관측됐다.
DIA는 "FOBS 무기는 전통적인 ICBM과 같은 방향으로 비행할 경우 비행시간이 훨씬 짧거나 조기 경보 시스템과 같은 미사일 방어 체계를 피하기 위해 남극을 넘어 이동할 수 있는 저고도 궤도에 도달한 뒤 대기권에 재진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2021년 FOBS 시험비행에 성공해 미군의 경각심을 촉발했다.
마크 밀리 당시 합참의장은 "무기 체계 시험의 매우 중요한 사건이고 몹시 우려스럽다"며 "그게 스푸트니크 모멘트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그것에 매우 가깝다고 본다"고 말했다.
스푸트니크 모멘트란 특정 사건이나 기술 발전이 국가나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그로 인해 변화나 혁신을 촉발하는 순간을 말한다. 1957년 소련이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해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큰 충격에 빠뜨린 사건에서 유래했다.
이 밖에도 DIA는 중국이 2035년까지 현재 400개인 핵탄두 장착 ICBM을 700개로 늘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핵탄두 장착 ICBM이 없는 이란은 2035년에는 60개를 보유하고, 러시아의 보유량은 350개에서 400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번 보고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판 아이언돔인 '골든 돔'에 관해 발표를 앞둔 가운데 나왔다.
이번 보고서는 중국과 러시아 등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책으로 골든 돔을 단독 제시하며 그 대체 불가능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이 보고서를 '백악관 발표의 전주곡'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