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국가성장 이끈다"…김문수 AI 반도체 독립 선언
K-반도체 조기 완공·기술 자립 가속
"국가가 인프라 깔고 민간이 뛴다"
SMR·AI 데이터센터·10만 인재 양성
김서연 기자
1,831
공유하기
![]() |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가 21일 AI 초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AI 기반 경제, 반도체 전략, 산업 인프라 등 3대 분야에서 전방위적 지원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양향자 공동선대위원장 겸 반도체·AI 첨단산업본부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대한민국이 AI 시대의 승자가 되기 위해선 기술·산업·인재·제도의 전면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김 후보의 'AI G3 도약' 전략을 공개했다. 핵심은 ▲AI 추동 경제(AI Drive
김 후보는 3년 내 국산 초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하는 'K-OpenAI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네이버, 카카오, 삼성, LG, KAIST 등이 참여하는 민관 컨소시엄이 주축이 된다. 개발된 AI는 공공 API 허브를 통해 중소기업·스타트업에도 개방된다.
AI 반도체 분야에선 뉴로모픽·DPU·NPU 등 차세대 제품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연 2조원 규모의 'AI 반도체 혁신펀드'를 조성한다. 전국 단위의 'AI 반도체 실증 센터'도 신설한다.
아울러 '전국 AI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해 대구(의료), 광주(교통) 등 지역별 특화 산업의 규제를 유예하고, 'AI 혁신 허가제'를 도입해 인허가를 30일 이내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AI 강국의 전제조건은 반도체 초격차 확보"라고 강조하며, 팹리스·소부장·파운드리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K-반도체 점프업 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대통령 직속 컨트롤타워를 설치하고 민관 합동 '초격차 연합체'를 구성한다.
현재 2030년으로 예정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2028년 조기 완공을 목표로 전면 지원하고, 부품 국산화 기업에는 세제 혜택과 공공 팹 제공 등 '기술 사다리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연 1조원 규모의 소부장 특화 펀드와 함께 반도체 공정거래법 제정도 추진된다.
기술 유출·외국 자본 M&A를 사전 심사하는 '반도체 전략물자 보호법' 제정과 'K-반도체 위기대응본부' 상설 운영도 공약에 포함됐다.
에너지·데이터·인재를 아우르는 산업 인프라도 주요 전략으로 제시됐다. 소형모듈원자로(SMR)를 활용한 AI 맞춤형 전력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전국 연산망을 연결하는 'AI 하이웨이'를 조성해 5대 권역별 초대형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소프트 인프라 분야에서는 공공 DaaS 체계와 'AI 데이터 신탁제' 도입, 데이터 이동권 확보 등이 포함됐다. AI 핵심 인재 10만명 양성 계획도 밝혔다. 등록금·생활비·인턴십 지원은 물론 졸업 후 취업 연계와 군 대체복무도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 밖에 대통령 직속 '미래전략부' 신설, 민간 출신 CAIO 임명, '선진국형 규제 체계' 도입을 통한 규제개혁도 추진된다.
양 위원장은 "김문수 정부는 국가가 인프라를 책임지고 민간이 혁신하는 도전국가 모델로 세계 AI 주도국으로의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