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재난상황실을 찾은 김동연 지사가 폭염상황을 살펴보는 모습. /사진제공=경기도


2일 오전 10시 도내 30개 시군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보호 대책 강화를 시군에 지시했다.


경기도는 이날 폭염 대비 도지사 특별 지시사항을 각 시군에 긴급 전파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폭염에 따른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독거노인, 공사장 야외근로자, 논·밭 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의 안부 확인, 예찰 활동을 강화한다.

여름철 체육행사 현황 파악과 안전사고 예방 조치, 폭염이 심한 시간(14~17시)에 실외 작업을 일시 중지하고, 휴게시설·무더위쉼터 등을 적극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무더위쉼터 정보 현행화와 운영 상태 점검, 온열질환 피해 최소화를 위한 폭염대비 행동요령도 널리 알린다.


도는 지난달 29일부터 상황총괄반 등 6개 반 12명의 폭염 대비 합동전담팀(TF)을 가동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도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폭염 대응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추진한다. 이는 폭염에 취약한 노인, 거동불편자, 만성질환자 등 건강취약계층 14만 가구를 대상으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보건소 방문간호사와 건강관리 인력이 가정을 방문하거나 전화, 문자 등의 방식으로 건강 상태를 점검한다.

일 최고 체감온도가 33℃ 이상으로 오르는 폭염특보 발령 시기를 중심으로 폭염대응 상황관리 체계를 구축·운영한다. 각 시군 보건소와 협력해 대상자들의 탈수 및 열사병 예방 교육, 건강 상태 모니터링, 폭염 시 행동요령 안내, 응급상황 시 대처 방법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또한 양우산, 쿨스카프, 식염포도당 등 시군별 폭염 대비 건강 물품도 지원한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4월11일부터 전국 최초로 경기 기후보험을 시행해 온열·한랭질환 진단시 진단비(10만 원) 등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폭염기간 도민 누구나 온열질환 등 상해시 보험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김 지사는 "평년 대비 높은 기온으로 취약계층의 온열질환 피해가 우려된다"며 "폭염 피해 예방에 있어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촘촘하고 꼼꼼하게 예방 대책을 강화해 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