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에 출마한 조경태 의원이 11일 서울 서초동 내란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며 취재진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 소환조사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11일 뉴스1에 따르면 조 의원은 이날 오전 7시49분쯤 서울 서초동 서울고검에 마련된 특검팀 사무실에 출석해 "헌법기관의 일원으로서 대한민국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며 "진실을 알고 있는 범위와 경험한 부분을 소상히 말씀드리기 위해서 이 자리에 섰다"고 조사에 응한 배경을 말했다. 그는 특검팀에 진술할 내용에 대해서는 "그날(지난해 12월4일) 있었던 이야기에 대해 말씀드리겠다"고 전했다.

조 의원은 "아직도 내란이 끝나지 않았다. 당내에 여전히 내란 동조 세력이 존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른바 '윤 어게인'을 아직까지 주창하는 세력이 내란 동조세력이라 생각한다"며 "이 세력들이 빨리 우리 당을 떠나길 바란다"고도 했다. 표결 당일 당 지도부의 상황 전달 방식을 두고는 "단체톡방(대화방)에서 서로 대화들이 엉켰던 것 같다"며 "혼선이 빚어진 것은 틀림없다는 생각이고 저는 바로 국회로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지난해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의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에 대해 조 의원을 상대로 계엄 해제 표결을 앞두고 의원총회 장소가 국회에서 여의도 당사로 변경된 과정과 지도부 차원의 표결 관련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파악할 전망이다.

표결 방해 의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약 1시간 뒤 추경호 당시 원내대표와 나경원 의원에게 각각 전화해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하도록 한 것 아니냐는 내용이다.


지난해 12월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는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조 의원을 포함해 18명만 참석했다.

특검팀은 이날 조 의원을 시작으로 같은당 소속 의원들을 소환해 당시 상황에 대해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소환 요청에 응한 의원도 있지만 다수 의원은 불출석 방침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지난달 15일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 지난달 30일 김상욱 더불어민주당(당시 국민의힘) 의원, 지난 7일 우원식 국회의장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주요 참고인 조사로 사실관계를 확정한 뒤 추 전 원내대표와 나 의원 소환 조사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