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20일 도청 기자회견실에서 '피지컬 AI 예타 면제 의결'과 관련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사진=전북도


전라북도가 대한민국 '피지컬 인공지능(AI)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 행보에 착수한다.

전북자치도는 지난 18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협업지능 피지컬AI 기반 SW 플랫폼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으로 의결됐다고 20일 밝혔다.


국무회의 의결에 따라 해당 사업은 기재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와 과기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등을 거쳐 예타 면제가 최종 확정된다.

이로써 전북은 앞으로 5년간 1조원 규모의 국책사업을 통해 글로벌 AI 중심지 도약을 시도할 수 있게 됐다.


피지컬AI는 기존의 디지털 기반 AI를 넘어 현실 세계의 차량·로봇·공장 등 물리적 시스템을 제어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단순한 소프트웨어 AI를 넘어 제조업·물류·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과 공공서비스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사업은 △산업별 특화 솔루션 개발 △글로벌 기술 표준 선점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을 주요 골자로 한다. 자동차·농기계 제조업 등 국내 주력 산업군에 특화된 AI모델과 시뮬레이션·제어 기술 등을 확보하고 산·한·연·관이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기술력을 집약한다.


전북도는 현대자동차·네이버·SK텔레콤·리벨리온·KAIST·성균관대·전북대 등과 협력해 연구개발을 진행해 국내 최초 피지컬AI 테스트베드와 융합 실증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피지컬AI 기술을 전략산업과 융합해 전북을 기술·산업·도시 전반의 혁신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동시에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도입·피지컬AI 전담조직 신설·전북자치도 특례 개정 등을 통해 산업 발전에 필요한 자율권과 정책 실행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특별자치도의 자율성과 규제샌드박스를 적극 활용해 기업과 연구기관이 마음껏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앞으로 전북을 대한민국 피지컬AI 실증 거점이자 글로벌 혁신의 중심지로 도약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