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23일 카카오 AI캠퍼스 이프카카오 행사에서 카카오톡의 변화를 소개했다. /사진=양진원 기자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챗GPT와 만나 새롭게 태어난다.

카카오는 오는 25일까지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진행되는 '이프 카카오(if(kakao)25)' 컨퍼런스를 23일 열었다.


정신아 대표는 "5000만명 일상 곳곳에 스며들겠다"며 "각자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필요한 취향에 따라 이용할 것"이라고 운을 뗐다. 이를 위해 매일 사용하는 카카오톡에 자체 AI 기술이자 서비스인 '카나나(Kanana)'를 접목함으로써 이용자들이 더 편리해진 일상을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카카오는 대화요약, 통화녹음, 숏폼 생성 등의 기능을 비롯해 기존 샵(#)검색을 대체할 '카나나 검색', 보안성을 극대화한 온디바이스(On-Device) 기반 AI 서비스 '카나나 인 카카오톡(Kanana in KakaoTalk)' 등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현재 베타 서비스 중인 '카나나앱'은 다수가 AI와 함께 소통하며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형 서비스로 업데이트 된다.


이용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힘을 쏟았다. 정신아 대표는 "5000만명이 사용하는 카톡은 그에 따르는 우려도 함께 고민했다"며 "카카오가 대화 내용을 열람하지 않는다는 원칙 아래 AI 모델은 자체 기술로 내재화하고 대화나 통화 데이터는 별도로 저장하거나 학습에 사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이스톡은 요약만 생성 후 지체 없이 삭제되고 안 읽은 대화 역시 요약 후 지운다"며 "챗GPT 학습에도 전달되지 않고 온디바이스에만 저장돼 전달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오픈AI와의 공동 프로덕트도 오는 10월 출시된다.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바로 ChatGPT를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대의 이용자들이 대화 속에서 더 자연스럽게 AI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ChatGPT의 단순 활용을 넘어 카카오맵, 선물하기, 멜론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되는 '카카오 에이전트'를 통해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도 서비스에 최적화된 모델과 PlayMCP, 에이전틱 AI빌더(Agentic AI Builder) 등의 에이전트 플랫폼을 함께 공개하며 AI생태계 확장 계획을 구체화했다.


정신아 대표는 "카카오는 에이전틱 AI 플랫폼을 통해 카카오에 연결된 그 이상 수많은 서비스를 연결하고 확장시켜 나갈 예정"이라며 "하나의 생태계로 연동 가능한데 이는 글로벌 무대로 나가는 통로"라고 말했다.

챗GPT와 카카오톡의 만남은 글로벌 기술의 범용성을 카카오톡으로 가져온다고 평가했다. 정 대표는 "AI 문턱을 낮추려는 노력"이라며 "별도의 챗GPT 없이 바로 채팅앱에서 챗GPT를 만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다양한 카카오 에이전트를 통해 풍부한 경험을 가질 수 있다"며 "톡캘린더, 멜론, 콘텐츠 서비스 모두 챗GPT와 카카오에이전트로 연동돼 다채로운 AI 경험이 가능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