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주요 상임위원회가 시공능력 상위 10위권 건설업체 총수와 최고경영자(CEO)들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대거 채택했다. 사진은 지난 8월 서울 중구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간담회에 참석한 10대 건설업체 CEO들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오는 13일 시작되는 국회 국정감사에 대형 건설업체 경영진이 대거 출석할 전망이다. 국토교통위원회를 비롯해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등 주요 상임위가 주요 건설업체 총수와 최고경영자(CEO)들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올해 건설현장의 중대재해가 잇따르고 이재명 대통령의 엄중 경고로 이 같은 상황이 예고됐음에도 무리한 증인 출석 요구는 기업 경영을 위태롭게 한다는 원성도 작지않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에 따르면 시공능력 10대 건설업체 가운데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SK에코플랜트를 제외한 8개사의 CEO가 올해 국감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국토위는 13일 국토교통부 국감 증인으로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이해욱 DL그룹 회장 ▲허윤홍 GS건설 대표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 ▲정경구 HDC현대산업개발 대표를 채택했다.

이들은 안전관리 부실 문제에 대해 집중 추궁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은 중대재해 발생에 대한 경영진의 관리·감독 책임 등을 지속해서 지적해왔다.


현대건설과 롯데건설을 제외한 6개사의 총수·대표는 사고 책임에 대한 질문을 받을 예정이다.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공사 수의계약 파기와 윤석열 정부 관저공사 특혜 의혹 등에 대해 증언할 전망이다.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는 경기 광주시 쌍령공원 민간개발 특례사업과 회사 유동성 대책에 관해 질문 받을 예정이다.

이한우 대표는 관저공사 의혹에 대해 법제사법위 국감에도 출석해야 하는 상황이다. 법사위는 이한우 현 대표와 윤영준 현대건설 고문(전 대표이사 사장)도 오는 16일 국감 증인으로 의결했다.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는 현대엔지니어링의 서울-세종고속도로 교량 붕괴사고, 포스코이앤씨의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사고에 대해 CEO를 소환한다.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와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는 산재 사망으로 국토위·환노위 2곳의 상임위로부터 출석 요구를 받았다.

김건희특검 '서희건설', 국감 화두

대형 건설업체 대표이사들이 줄줄이 소환되면서 사실상 올해 국감은 건설업계를 대상으로 한 청문회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사진은 지난 8월 열린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20대 건설 CEO 간담회. /사진=공동취재단


김건희특검 수사가 진행 중인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과 김원철 대표도 13일 국토위 국감 증인석에 출석이 예고됐다. 이들은 불공정계약 논란과 투자자 피해를 야기한 지역주택조합 사업과 관련해 질의 받을 예정이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씨에 대한 특검이 주요 현안이 될 전망이다.

서희건설은 이봉관 회장 맏사위인 박성근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의 인사청탁을 목적으로 김건희씨에게 고가의 금품을 선물한 것과 관련 수사를 받고 있다.


환노위는 27일 김민식 이랜드건설 대표를 증인으로 세워 중대재해 발생과 산재 예방 부족 등을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요구할 예정이다. 이어 29일에는 박세창 금호건설 부회장도 국토위 증인으로 소환된다. 2023년 집중호우로 14명의 사망자를 낸 오송 지하차도 참사와 부실시공 관련 질의가 예정돼 있다. 손형관 유림건설 대표는 건설업체 대상 갑질 횡포와 피해를 사유로 같은 날 국토위 증인석에 앉는다.

국회의 지속되는 CEO 소환에 기업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정작 산업 전반의 구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질적 대책 논의보다 국회의 권한을 과시한 국감은 지양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너무 많은 증인 출석으로 시간만 허비하는 국감이 아니라 발주처와 하도급, 노동자가 참여해 구조 문제를 고민하는 국감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