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세·M&A 시장 위축에…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18% 감소
산업부 발표… AI 분야 투자는 지속
이한듬 기자
2,376
공유하기
![]() |
미국의 통상정책 불확실성 여파 등으로 3분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 신고가 전년동기대비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3분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 신고는 전년동기대비 18.0% 감소한 206억5000만달러, 도착은 2.0% 감소한 112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해 3분기 역대 최대 투자신고 실적(251억8000만달러) 달성에 따른 역기저효과가 나타나며 투자 의향을 의미하는 투자신고가 전년동기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 5년 평균 누적 3분기 신고 수준인 203억5000만달러를 소폭 상회했다. 3분기 누적 순위는 역대 4위로 올해 상반기 순위(5위)에서 한 단계 상승했다.
유형별로 그린필드 신고는 전년동기대비 6.1% 감소한 177억7000만달러를 기록했고 M&A는 시장 위축에 따른 대형 인수 건이 현저히 줄어들며 54.0%로 대폭 감소(28억8000만달러)해 전체적인 투자 신고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됐다.
국가별로 미국은 화공, 유통, 정보통신 업종 중심으로 투자가 유입되며 58.9% 증가(49억5000만달러)했다. 유럽연합(25억1000만달러, -36.6%), 일본(36억2000만달러, -22.8%), 중국(28억9000만달러, -36.9%) 등은 감소했다.
업종별로 제조업은 29.1% 줄어든 87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운송용기계는 27.2% 늘어난 8억8000달러, 기타제조는 93.4% 증가한 2억달러를 기록했다. 전기·전자(28억5000달러, -36.8%), 화공(24억3000만달러, -13.8%) 등은 감소했다.
서비스업(111억1000만달러, -6.9%)은 유통(20억8000만달러, 122.5%), 정보통신(17억9000만달러, 25.7%) 업종 위주로 신고가 증가하고 금융·보험(41억3000만달러, -43.6%) 등에서 하락했다. 특히 AI 관련 데이터센터, 자율주행S/W, 로보틱스 등 정보통신업(17억9000만달러, 25.7%)을 중심으로 AI 분야에 대한 신고가 지속됐다.
3분기 투자도착은 112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3분기(115억1000만달러)를 하회했다. 유형별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 효과가 있는 그린필드 도착이 전년동기대비 23.0% 증가한 82억1000만달러를 기록한 반면 M&A 자금 도착은 36.5% 줄어든 30억7000만달러에 그쳤다.
국가별로 미국(29억9000만달러, 99.7%), 중국(4억5000만달러, 35.5%) 도착은 증가한 반면 EU(24억8000만달러, -41.8%), 일본(4억5000만달러, -60.5%) 도착은 감소했다.
제조업(29억7000만달러, -25.5%)은 화공(13억6000만달러, 80.9%), 운송용기계(1억4000만달러, 6.9%) 등 분야의 투자 유입이 증가하고 전기·전자(7억9000만달러, -37.7%), 기계장비·의료정밀(3억1000만달러, -43.3%) 등에서 감소했다.
서비스업(78억6000만달러, 10.3%)은 유통업(15억4000만달러, 210.3%), 정보통신(10억8000만달러, 24.1%)등 업종 중심으로 증가했다. 특히 AI 관련 데이터센터, 자율주행S/W, 로보틱스 등 정보통신업(10억8000만달러, 24.1%)을 중심으로 AI 분야에 대한 도착이 지속됐다.
산업부는 상반기 국내 정치상황 불안, 미국 통상정책 불확실성 지속, M&A 시장 위축으로 인한 대형 M&A 감소로 3분기 누적 신고 실적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했다.
또한 지난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에 따른 역기저효과와 작년 대비 상승한 환율 효과가 함께 작용해 감소폭이 확대된 측면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정보통신 분야 중심의 AI 분야에 대한 투자가 지속돼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에 대한 외국인투자가들의 신뢰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외국인투자 도착은 작년 3분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신고된 투자 건들이 일정한 시차를 두고 정상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산업부는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해 현금·입지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활용해 국내외 잠재적 투자기업 발굴·유치를 지속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AI,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등 그린필드 첨단산업을 타겟팅한 해외 IR, 국내 진출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추가 투자 수요를 발굴하는 지역순회 IR 등 다양한 국내⸱외 투자유치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며 "투자 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 해소를 위해 올해 발족한 FDI 이행지원단을 통해 프로젝트별로 밀착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한듬 기자
머니S 산업팀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