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과 험한 말' 오간 경기도의회…도지사-도의원 충돌 왜?
경기=남상인,
김동우 기자
공유하기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고준호 도의원(국민의힘)이 경기도의회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격렬하게 충돌했다.
6일 경기도의회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열린 본회의에서 양측은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대응과 경기도의 100조 원대 투자유치 성과를 두고 날 선 공방을 벌였다. 김 지사는 고 의원의 공세에 '비열한', '야비한' 등의 거친 표현까지 사용하며 맞섰다.
고준호 도의원(국민의힘)은 이날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김 지사를 상대로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도 대응과 경기도의 100조원대 투자유치 등 주요 정책에 대해 날 선 공세를 펼쳤다.
먼저 고 의원은 김 지사의 옛 발언을 영상으로 소개하며 "지사께서는 하지 말아야 할 두 가지를 발언했는데 지금, 이 모두를 다 했다"며 "정치 이념으로 (부동산 정책을) 결정했고 시장은 안중에도 없었다"고 공격을 시작했다.
이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 정부의 협의 요청에 대한 도의 답변에 대해 절차적 문제를 따졌다. 도에 따르면 대책 발표 이틀 전인 13일 정부가 도에 협의를 요청해 왔고 하루 전 "이견 없음"이라는 답변을 전달했다. 고 의원은 "경기도 12곳 부동산이 묶여 재산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도민과 시군의 협의 과정 거치지 않고 지사가 그냥 일방적으로 했다"고 강하게 따졌다.
"왜 갑자기 언성을 높이느냐"며 당혹감을 표한 김 지사는 "부동산 대책은 마치 금융실명제처럼 타당성이 인정되면 공개하지 못하고 빠르게 (시행)하는 것"이라며 "국토부에서 경기도에 요청한 것(협의)에 대해 빠르고 신속하게 의견을 주고 필요하면 건의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김 지사 해명에도 공방은 이어졌다. 고 의원은 그러면 "의견 회신할 때 집행 부서와 논의는 거쳤느냐"고 또다시 따져 물었고, 김 지사 대신 답변에 나선 손임성 도시주택실장은 "그때 정부가 날짜까지 정해 의견을 달라고 요청해 자체적으로 (논의)하고 비서실에 (결과를) 보고 후 회신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고 의원은 "별도 회의, 회의록도 없이 도민을 배제한 긴급 결정은 정권에 복종한 행정"이라며 김 지사를 향해 "대한민국 축소판 경기도가 청와대 출장소 같다"고 비난 수위를 높였다.
김 지사는 "고 의원이 국정과 도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로 인한 불편함은 있지만, "부동산 시장 불안정 시 도민과 전 국민이 피해를 본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공방에 앞서 두 사람은 경기도가 밝힌 100조원대 투자유치 성과에 대한 사실 여부를 놓고도 날 선 공방을 벌였다. 고 의원은 투자를 유치한 사업의 상당수가 김 지사 취임 전 투자 협상을 진행했거나 공사가 중단된 사업이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유치 건수가 100건이 넘어 개별 사안을 일일이 얘기하기 어렵다"면서도 "100조원은 숫자 하나도 가공하거나 헛된 것이 없다"고 반박했다. 투자는 '협상-투자의향서(LOI)-양해각서(MOU)' 등 여러 단계를 거치며, 취임 전 협상했더라도 이후 과정이 투자 확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했다.
끝날 것 같던 설전은 고 의원이 김 지사의 개인 신상인 배우자의 도곡렉슬 아파트 보유 여부를 언급하며 최고조에 달했다. 고 의원이 토허제로 묶인 지역 아파트값은 떨어졌는데 강남 아파트는 올랐다고 비꼬았다. 이에 김 지사는 감정을 자제하지 못한 듯 "10년도 넘게 소유한 집인데 어떻게 '야비하게' 그렇게 이야기하냐?"며 강하게 유감을 표명했다. 양측의 험한 말과 고성이 오가며 도정질문은 험악하게 마무리됐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남상인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김동우 기자
머니s 경기인천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우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