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 양성' 속도 내려는 정부, 현장선 "전형적 탁상공론"
AI 인재 패스트트랙 신설에 "박사 학위만 늘리는 것", "각 분야 전문가 AI 교육 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
지선우 기자
1,017
공유하기
엔비디아의 GPU 26만 장 공급으로 인공지능(AI) '3강'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정부가 관련 인재 양성·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는 오는 14일부터 미국 주요 대학과 혁신 기업을 방문해 반도체·AI 인재 확보에 나선다.
지난 10일 교육부도 AI 인재가 학사부터 박사까지 모든 과정을 6년 이내에 마칠 수 있는 '패스트트랙'을 신설하겠다고 했다. AI 인재 확보 필요성이 커지자 각 부처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업계는 "전형적인 탁상공론"이라며 "인재 확보 방향이 틀렸다"고 지적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방한 이후 정부 부처 간 AI 주도권 다툼이 심화되고 있다. 기존에는 과기부와 기획재정부 등이 관련 의제를 주도했지만 교육부가 인재 확보 방안을 발표하며 경쟁에 뛰어들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AI 핵심 인재의 조기 사회 진출을 위해 학부·석사·박사 과정을 5.5년 만에 마칠 수 있는 패스트트랙을 신설하고, 초·중·고 AI 교육에 총 1조4000억 원(초·중등 9000억 원, 고등 5000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업계는 정부의 이러한 방안이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고 본다. 업계 관계자는 "학사·석사·박사 단계를 구분해 운영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며 "카이스트처럼 석·박사 통합과정을 운영해도 9년은 걸린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지식을 쌓고 문제를 스스로 찾아 해결하는 과정에서 전문성이 생기는데 5.5년 패스트트랙은 박사 학위만 양산할 뿐"이라고 꼬집었다.
초·중·고 AI 교육 예산 1조4000억 원 투입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AI에 익숙해지고 활용하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결국 공부 과목 중 하나로 전락할 수 있다"며 "논리적 사고와 창의성을 기르는 데 집중해야 하는데 오히려 획일화된 교육으로 흐를 수 있다"고 했다.
과기부의 미국 현지 인재 확보 행보를 두고도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국내 연구 환경을 개선하고 AI 산업을 키우고 싶게 만드는 게 우선"이라며 "해외 인재를 직접 접촉한다고 해서 한국으로 데려올 수 있는 건 아니다"라고 했다. 한국은 낮은 연봉과 연구 여건이 열악해 AI 교수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단기 인재 양성책보다 기존 전문가를 활용하는 접근이 더 효과적이라는 제언도 나온다. 우주항공 분야 석·박사에게 AI 심화 과정을 제공하면 융합형 인재를 육성할 수 있고 변호사를 AI 전문가로 성장시키면 리걸테크 분야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