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1400원 시대가 사실상 일상화 했다. 사진은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16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거리의 환전소에서 외국인들이 환전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스1



최근 수출기업들이 벌어들인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매도 시점을 늦추는 이른바 '래깅 전략'을 강화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간다.


지난 9월24일부터 34거래일 동안 1400원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이달 13일엔 장중 1470원을 돌파하는 등 고환율은 일시적 현상이 아닌 뉴노멀(새로운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미국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대한 기대감 약화, 서학개미의 미국증시 투자 확대도 원/달러 환율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세가 이어지자 수출기업들은 결제일을 미뤄 환율이 상승할 때 대금을 수령, 환차손을 최소화하는 래깅 전략을 본격적으로 구사하기 시작했다.


통상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기업들이 차익 실현을 위해 달러를 원화로 환전한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이 더 상승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며 기업들이 보유한 달러를 내놓지 않는 것이다.

이달 14일 350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의 '한미 전략적 투자에 관한 MOU(양해각서)'가 체결된 이후 기업들이 대규모 대미 투자 가능성에 달러를 보유하는 쪽으로 선회한 것도 원화 약세를 부추기고 있다.


실제 국내 기업들의 달러 보유량을 가늠하는 지표인 거주자외화예금은 지난 4월 1000억달러를 돌파한 이후 올해 9월까지 5개월 연속 1000억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거주자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및 국내에 진출해 있는 외국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이다. 한은의 외환보유액에 빗대 제2의 외환보유액 또는 민간 외환보유액으로도 불린다.


문다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급격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수출기업들이 단기 환율 고점에서 달러를 매도하기 위해 달러를 보유하려는 유인이 되고 있다"며 "수출기업의 달러 매도 수요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해외 주식 매수 목적의 달러 매수 수요가 유입되면서 고환율이 이어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민경원 우리은행 선임연구원은 "수출기업들은 현물환을 래깅했고 개인들은 예금을 늘린게 원/달러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거주자외화예금이 원/달러 환율에 연동하는 상황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학개미 공격적 투자와 기준금리 기대감 약화도 달러 강세 원인

서학개미 등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증시 투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도 원화값 하락과 달러 강세를 부추기고 있다. 서학개미의 해외투자가 늘어나면서 원화를 팔고 달러를 구하려는 수요가 이어지고 있어 환율이 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의 따르면 올해 1월2일부터 11월14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매수금액은 2882억8876만달러(약41조1743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한 해 동안의 매수금액(2602억5153만달러, 38조19억원)을 이미 뛰어넘었다.

서지용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서학개미의 공격적인 해외투자로 환전수요가 폭발하며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환율이 올라도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오히려 비싼 달러를 사들여 해외투자를 이어가는 것도 고환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약화한 것도 환율 상승 요인으로 거론된다. 지난 주말 사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주요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졌다. 로리 로건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미국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은 만큼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어들자 달러화는 강세다. 지난 17일(현지시간) 오후 6시 기준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DXY)는 0.15% 오른 99.423을 기록 중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기준금리 인하가 불투명해진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국내 자산 수익률에 대해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며 "이는 자본 유출과 달러 수요 증가로 이어져 원화 약세와 환율 상승을 유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 "환율 더 상승할 것"

전문가들은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당분간 환율이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지용 교수는 "원달러 환율은 1500원을 돌파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라며 "당분간 이런 높은 환율 수준을 기초로 의사 결정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7일 보고서를 통해 4분기 평균 환율전망치를 기존 1390원에서 1420원으로 3원 높이는 한편 단기 상단은 1480원으로 제시했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수출 비중이 높은 나라에서 외환보유액이 충분치 않다 보니 대외 충격이 발생하면 환율이 쉽게 오를 수 있는 구조"라며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지는 않겠지만 당분간 1400원 중후반대를 유지할 가능성은 크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