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대출 규제 강화로 자금 마련이 어려워지며 서울 아파트 매매에서 15억원 미만 거래 비중이 급증했다. 사진은 지난 19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1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에서 15억원 미만 거래 비중이 급증했다. 반면 15억~25억원 미만과 25억원 이상 초고가 거래 비중은 감소했다. 갭투자(전세 낀 매매) 차단과 대출 규제 강화로 자금 조달이 제한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2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총 904건이었다. 이는 전월(2339건) 대비 약 3분의 1 수준이다.


이 중 15억원 미만 아파트 거래가 739건으로 전체 81.8%를 차지했다. 전월 동기(72.6%) 대비 9.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15억원 미만 아파트가 많이 거래된 자치구는 노원구(60건), 성북구(51건), 마포구(45건) 순으로 집계됐다.

15억~25억원 아파트는 총 139건(15.4%)으로 전월 22.8% 대비 7.4%포인트 줄었고 주로 한강벨트 지역에 몰렸다. 자치구별로 성동(21건) 강동(14건) 양천·송파(각 13건) 마포(11건) 순이다. 25억원 초과 아파트는 26건(4.6%)으로 전월 2.9% 대비 1.7%포인트 감소했다.

앞서 16일부터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규제가 강화되면서 15억원 이하 아파트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기존 6억원으로 유지됐지만 15억원 초과는 4억원, 25억원 초과는 2억원으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