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싼타의 선물은 없었다'…높아진 상장폐지 가능성
차완용 기자
5,333
공유하기
![]() |
25일 금융권 및 건설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에 대한 채권단의 지원 논의가 잠정 중단되며 출자전환으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는 피하되, 상장폐지시키는 방안이 가시화되고 있다.
채권단의 추가지원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쌍용건설 법정관리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장을 막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추가지원 방안은 앞서 쌍용건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제시한 안건인 출자전환(1안 5000억원, 2안 3829억원)과 신규자금(3000억원) 지원이다. 채권단이 출자전환에 동의하면 신규자금이 함께 지원되는 구조다.
쌍용건설의 주채권자인 우리은행은 당초 이번주 초반 쌍용건설의 추가 정상화 방안을 채권단 회의에 올릴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 23일 우리은행 이순우 행장과 김진훈 군인공제회 이사장의 비밀회동이 입장 차만 확인한 채 소득 없이 끝나면서 추가 정상화 방안을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인공제회는 쌍용건설 채권 1235억원의 원금(850억원) 가운데 연내 400억원, 내년 450억원을 받고 이자는 2015년 말까지 이자율을 내려 상환받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반면, 채권단은 이자 탕감을 주장하며 맞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금융권 및 건설업계에서는 채권단이 부의 안건 중 2안을 채택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물론 2안인 3829억원을 지원받으면 쌍용건설은 자본잠식을 면할 수 있다. 하지만 공사 수주가 가능한 최저 자본금 요건만 충족하는 정도다. 이 경우 해외 발주처에서 쌍용건설 재무상태를 문제 삼을 수 있다.
쌍용건설 입장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1안인 5000억원을 지원받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쌍용건설은 연말 자본잠식을 면할 뿐 아니라 부채대비 자본 비중이 50%로 늘어난다. 해외 건설시장에서 최소한의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채권단의 입장은 기존 5000억원을 넘어선 신규자금 출자전환은 어렵다는 것이어서 상장폐지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채권단이 자기자본의 50%가량을 출자전환을 해주면 상장이 유지되지만, 자본잠식분에 대해서만 출자전환을 결정할 경우 상장이 폐지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만약 쌍용건설에 대한 상장폐지가 결정될 경우 최악의 상황은 면할 수 있게 된다”며 “다만 우려되는 것은 일부 자본잠식으로 해외수주 시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통상 해외 발주처들은 건설기업의 재무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공사대금에 대한 100% 보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쌍용건설은 지난 10월 3000억원 규모의 싱가포르 톰슨라인 지하철 공사입찰에서 1위로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고도 법정관리 우려때문에 공사수주에 실패했다. 해당 공사는 경쟁사인 일본 건설기업이 가져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