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임한별 기자
/사진=임한별 기자



최근 배터리 폭발 등의 문제가 불거진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에 대한 정부의 사전 조사가 없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6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산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기표원)은 현행법에 '소비자의 생명·신체 또는 재산에 위해를 끼치거나 끼칠 우려가 있는 경우' 안전성 조사를 하도록 규정돼 있음에도 갤럭시노트7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특히 기표원은 캐나다에서 갤럭시노트7에 대한 리콜이 시작되는 지난 13일 1차 전문가회의를 소집, 그동안 언론에 보도된 갤럭시노트7에 대한 폭발 사고로 지목된 원인에 대해 결함이 없음을 확인했다.

이미 미국 정부기관이 사용 중지를 권고했음에도, 새로 교체하겠다는 ATL 배터리에 대한 안전 확인은 없이 휴대폰 본체에 대한 결함이 없다는 증명만을 되풀이했다는 것이 우 의원의 주장이다.


더욱이 기표원은 최초 폭발 사고 후 일주일이나 지난 뒤에서야 언론 보도를 통해 문제를 인지하는 등 허술한 대응 체계를 보였다. 삼성전자에게 폭발 관련 자료를 뒤늦게 요구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는 게 우 의원의 설명이다.

우 의원은 “책임을 지고 있는 기관인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안전성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사건을 일주일 뒤에나 언론 보도를 통해 인지한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