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비율 변경 요청… 삼성이 거부
허주열 기자
3,450
공유하기
국민연금공단이 지난해 7월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을 찬성하기에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을 만나 합병비율 조정을 요구했다는 내부 관계자 증언이 나왔다.
정재영 국민연금 책임투자팀장은 지난 30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증인으로 출석해 지난해 7월7일 당시 홍완선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과 함께 이재용 부회장,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부회장 등을 만나 “합병비율 변경이 가능한지 문의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삼성 측은 “합병비율이 이미 결정돼서 외부에 발표가 됐기 때문에 제일모직 주주 입장에선 합병비율을 바꾸게 되면 배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쉽지 않다”며 거부했다고 전했다.
특히 그는 “내부 분석에 따르면 삼성물산 주주에게 불리한 부분이 있어 합병비율 변경을 요청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일모직과 옛 삼성물산 합병비율을 1대 0.35로 할 경우 삼성물산 주식에 대한 손해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의미다.
다만 정 팀장은 “최종 의사결정은 투자위원회에서 할 수 있고 현장에 간 사람이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었다”며 합병 찬반 결정에 역할을 할 위치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문형표 국민연금 이사장은 국민연금 상급기관장인 보건복지부 장관 재직 시 이뤄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찬성 관련 “청와대 등의 외압 요청 등은 없었다”며 “개별 투자건은 기금운용본부가 전담하며 보건복지부 장관이나 국민연금 이사장은 개입하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정재영 국민연금 책임투자팀장은 지난 30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증인으로 출석해 지난해 7월7일 당시 홍완선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과 함께 이재용 부회장,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부회장 등을 만나 “합병비율 변경이 가능한지 문의했다”고 말했다.
![]() |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서 문형표 국민연금 이사장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
하지만 삼성 측은 “합병비율이 이미 결정돼서 외부에 발표가 됐기 때문에 제일모직 주주 입장에선 합병비율을 바꾸게 되면 배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쉽지 않다”며 거부했다고 전했다.
특히 그는 “내부 분석에 따르면 삼성물산 주주에게 불리한 부분이 있어 합병비율 변경을 요청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일모직과 옛 삼성물산 합병비율을 1대 0.35로 할 경우 삼성물산 주식에 대한 손해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의미다.
다만 정 팀장은 “최종 의사결정은 투자위원회에서 할 수 있고 현장에 간 사람이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었다”며 합병 찬반 결정에 역할을 할 위치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문형표 국민연금 이사장은 국민연금 상급기관장인 보건복지부 장관 재직 시 이뤄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찬성 관련 “청와대 등의 외압 요청 등은 없었다”며 “개별 투자건은 기금운용본부가 전담하며 보건복지부 장관이나 국민연금 이사장은 개입하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