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14년 4월부터 최근까지 '층간소음 전문 컨설팅단' 운영을 통해 민원 상담한 결과 1694건이 접수됐다.


2014년 10월~2015년 4월 사이 층간소음 민원 상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는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올해 9월부터 다시 증가세를 나타냈다. 컨설팅단 분석 결과 여름철에는 층간소음 건수가 감소한 반면 실내활동이 많은 가을과 겨울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층간소음 갈등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아이나 어른이 뛰면서 발생하는 소리가 전체의 절반 이상인 55.8%를 차지했다. 또한 망치질이나 가구를 끄는 소리, 문을 열고닫을 때 나는 소리가 9.1%를 기록했다. 이밖에 악기, 운동기구, 가전제품 소리 6.5%, 반려동물 짖는 소리 4.7%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주민 갈등을 줄이기 위해 매트나 카펫 깔기, 소음이 심할 경우 관리사무소에 중재 요청하기, 관리사무소가 주의사항에 대한 안내방송 실시하기 등을 제시했다. 주민 간 직접 대면이나 항의는 제3자의 중재보다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컨설팅단은 일부 민원의 요청 시 층간소음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층간소음 갈등이 증가하는 겨울철을 맞아 상호배려와 차분한 대처가 필요하다"며 "문제발생 시 관리사무소나 서울시 등 제3의 중재자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사진=KCC
/사진=K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