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S토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기다렷"
이남의 기자
11,487
공유하기
‘제2의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가 다음달 문을 연다. 카카오뱅크는 이달 중순 금융결제원·한국은행과 지급결제망을 연계한 실거래 테스트를 시작해 다음달 말 공식영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인지도가 높은 카카오톡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이용자가 4000만명에 달하는 모바일메신저를 앞세워 인터넷은행 후발주자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케이뱅크가 초기 영업에서 고전했던 24시간 365일 모바일 상담서비스도 강화한다. 상담인력을 대폭 확충해 고객의 거래를 원스톱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고무적인 부분은 인터넷은행이 초반 관심 끌기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먼저 출범한 케이뱅크가 한달 만에 3000억원의 예·적금을 유치하는 등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는 것.
따라서 다음달 카카오뱅크가 영업을 시작하면 케이뱅크와 뜨거운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은행의 판도 변화가 일어날지 주목된다.
◆카카오톡 강점, 중금리대출 차별
카카오뱅크는 카카오톡과 연계한 서비스로 고객 확보가 가능한 점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카카오톡 주소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과 결합해 손쉽게 상담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 |
/사진제공=카카오뱅크 |
케이뱅크가 컴퓨터와 모바일에서 온라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카카오뱅크는 모바일에서만 거래가 가능하다. 웹 페이지는 서류제출 등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대출상품도 차별화했다. 저신용자도 이용할 수 있는 소액 마이너스대출상품 ‘모바일 속 비상금’을 출시할 계획이다. 최대한도는 200만원이며 신용에 따라 금리·한도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케이뱅크와 달리 카카오뱅크는 SGI서울보증이 주주사여서 대출대상도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SGI서울보증이 보유한 데이터와 자체 신용평가모형을 활용하면 저축은행과 비교해 10%포인트 이상 싼 금리로 대출할 수 있어서다.
고신용자 대상의 신용대출은 케이뱅크처럼 재직·소득증명 등 서류제출 없이 스크래핑기법을 활용해 심사하고 대출을 제공한다. 반면 저신용자는 SGI서울보증이 보유한 정보와 카카오택시, G마켓, 예스24 등 주주사로부터 받은 각종 정보를 통해 카카오뱅크 자체 신용평가를 활용, 대출을 검토할 방침이다.
카카오뱅크는 신용등급을 세분화하면 저신용자에게 좋은 조건으로 대출이 가능하고 연체율 관리도 용이해질 것으로 본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대출자가 택시기사일 경우 카카오택시의 운행이력·고객평가점수를 참고할 수 있다”며 “다른 곳에서 4등급인 고객이 카카오뱅크에선 2∼3등급이 될 수 있어 대출을 늘리기 용이하다”고 말했다.
◆해외송금 ‘격전지’, 수수료경쟁도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대전은 해외송금시장에서 본격화될 전망이다. 카카오뱅크는 해외송금수수료를 기존 은행의 10분의1 수준으로 낮춰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해외송금은 케이뱅크가 아직 선보이지 않은 서비스여서 카카오뱅크가 인터넷은행 고객의 송금거래수요를 선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에서 해외로 돈을 보낼 때는 환전수수료와 송금수수료, 전신료를 내야 한다. 환전수수료와 전신료는 운신의 폭이 좁지만 송금수수료는 은행 재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은행창구에서 500달러 이하를 송금할 때 수수료는 평균 창구수수료 5000원, 전신료 8000원이다. 환전비용을 제외해도 1만3000원을 내야 하는 셈이다.
![]() |
그러나 카카오뱅크를 이용하면 이 금액은 1300원으로 줄어든다. 그야말로 파격적인 혜택이다. 시중은행의 모바일뱅킹 해외송금과 비교해도 수수료는 대폭 줄어든다.
은행들은 모바일에서 해외로 송금하는 경우 수수료를 창구수수료의 절반으로 깎아주지만 카카오뱅크의 수수료 축소 공약에는 못 미친다.
카카오뱅크는 송금시스템이 은행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힌트 외에 어떤 것도 밝히지 않았으나 블록체인 등 핀테크기술을 이용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현재 해외송금은 국제은행통신협회(SWIFT)를 경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세계 모든 은행이 서로 환거래용 계좌를 개설할 수 없어 국가나 대륙별로 혹은 통화별로 규모가 큰 은행을 집합해놓은 일종의 중앙금융통신망을 거치는 것이다.
모든 금융정보가 SWIFT를 거치는 만큼 중개수수료가 비싸고 데이터관리비 등 유지비도 많이 든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중앙통신망을 거치지 않고 바로 송금이 가능한 데다 보안도 안전하다.
하지만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블록체인을 활용하지 않고 해외결제과정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검토 중”이라며 “자녀가 유학 중이거나 해외거래가 많은 고객이 수수료 걱정 없이 송금하는 저렴한 수수료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출범을 코앞에 뒀지만 카카오뱅크 역시 헤쳐나가야 할 과제가 쌓였다. 산업자본의 은행업 영위를 제한하는 은행법 규제로 출범 이후 자본금 확충이 절실한 상황이다.
다행히 카카오뱅크의 자본상황은 케이뱅크보다 낫다. 케이뱅크는 자본금이 2500억원으로 이미 절반 이상을 사용해 올해 말이나 늦어도 내년 초에는 증자가 결정돼야 원활한 대출업무가 가능하다.
반면 카카오뱅크는 자본금이 3000억원, 출범이 늦어져 내년 말까지는 버틸 수 있다고 자신한다. 또 법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에도 기존 주주들과 함께 현행법 안에서 증자가 가능하도록 대안을 마련하는 중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은행법이 바뀌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차질이 없도록 대비책을 마련했다”며 “또 다른 인터넷은행의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기대해달라”고 말했다.
이용우 카카오뱅크 공동대표와 심성훈 케이뱅크 행장은 서울대 경제학과 82학번 동기다. 국내 수재들이 이끄는 인터넷은행 대전에서 누가 승기를 잡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8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남의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금융팀 이남의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