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발표… 절대평가 확대 여부에 촉각
김나현 기자
3,854
공유하기
![]() |
수능 개편안 발표. 사진은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왼쪽 2번째). /사진=임한별 기자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이 31일 최종 발표된다. 절대평가 과목이 영어, 한국사를 포함해 4과목으로 늘어날지 전 과목으로 확대될지가 관심사다.
교육부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을 최종 발표한다. 교육부는 현재 중학교 3학년이 고교에 진학하는 다음해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이 새롭게 적용되면서 수능 개편안을 준비해왔다.
지난 10일 발표한 시안은 두 가지다. 1안은 영어, 한국사 외에 신설되는 통합사회·과학, 제2외국어·한문만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나머지 국어, 수학, 탐구 영역은 지금처럼 상대평가를 유지한다. 2안은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교육부는 시안 발표 이후 4차례 권역별 공청회를 개최하고 의견을 수렴했지만 여론이 모아지지 않으며, 두 가지 안 모두 비판받고 있는 상황이다. 1안은 현행 수능과 다를 바가 없어 입시 경쟁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안은 수능 변별력이 떨어져 학생부종합전형 등의 비중이 확대된다는 우려를 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발표를 아예 연기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진보성향 교육단체 40여곳으로 구성된 '새로운 교육공동체 수립을 위한 사회적교육위원회'는 지난 29일 "수능 개편 논의를 중단하고 범국민 입시개혁기구를 설치하라"고 촉구했다.
수능 전 과목 상대평가와 정시 모집 비중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는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은 전날 1안과 2안 모두 폐기하라고 요구했다. 바른사회시민회의도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 10명 가운데 7∼8명이 현행 수능이 유지되길 원한다"고 설명했다.
1안, 2안에 대한 찬반은 물론 다양한 주장들이 계속 쏟아져 나오면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이 어느 쪽으로 결론이 나든 학생과 학부모의 혼란은 줄어들지 않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