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만약 탄핵이 인용될 경우 대통령 관저 퇴거 시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다. 사진은 지난 2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파면버스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가압류 스티커를 붙이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만약 탄핵이 인용될 경우 대통령 관저 퇴거 시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다. 사진은 지난 2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파면버스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가압류 스티커를 붙이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만약 탄핵이 인용될 경우 대통령 관저 퇴거 시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오는 4일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리면 윤 대통령은 즉시 파면되며 대통령직 상실과 함께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도 비워야 한다.

파면 이후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사저는 윤 대통령이 대선 전까지 거주했던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다. 하지만 대통령실과 경호처가 해당 사저에 대해 사전 준비를 전혀 하지 않고 있다는 내부 증언이 나오면서 즉각적인 이동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출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윤건영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구로구을)은 지난 2일 유튜브 방송 '매불쇼'에 출연해 "경호처 지휘부가 탄핵 기각을 확신하고 아크로비스타 쪽에는 아무런 경호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는 경호처 관계자 제보를 전했다.

윤 의원은 "(탄핵이) 인용될 게 뻔하니 미리 사저에 경호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는데 그런 조치를 하나도 안 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오로지 기각만을 전제로 경호 인력들에게 군기만 잡고 있다"고 주장했다.


만약 실제로 사전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면 윤 대통령의 퇴거 준비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박근혜 전 대통령도 2017년 3월10일 헌재로부터 파면됐지만 낡은 삼성동 사저의 정비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이틀 뒤인 12일 저녁 청와대를 떠났다. 당시에도 정치적 메시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퇴거 시점 조율이 필요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윤 대통령 측은 혼잡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경호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오는 4일 헌재 선고에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