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형택 기자 = 이현석 서울의료원장이 쓴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심장'이 출간됐다.

심장은 평생동안 잠시도 쉬지 않고 1분에 60회 이상 뛴다. 만일 심장이 4분만 멈추면 이로 인한 뇌 손상은 회복이 불가능하다. 문제는 심장병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 다행히 심장이라는 장기를 잘 이해하고 생활 습관을 바꾼다면, 선천성 심장질환처럼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생명이 위독할 정도로 심한 심장병이라도 수술을 하면 정상인으로 생활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누구나 알지만 실제로는 제대로 알지 못하는 심장과 심장병에 대해 서울의료원장 이현석 박사가 이해하기 쉽게 풀어낸다.

무게 약 300그램에 어른 주먹만한 크기에 불과한 심장은 평생동안 잠시도 쉬지 않고 1분에 60회 이상 뛴다. 만일 심장이 4분만 멈추면 이로 인한 뇌 손상은 회복이 불가능하다. 그래서일까? 우리 몸의 장기 중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지만, 심장은 그중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문제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풍부해진 식사로 인해 심장병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 2023년 정부 통계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는 689명인데 그중 심장병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64.8명으로 10퍼센트 가까이 된다. 암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전체 의료비 중에서 심장병이 차지하는 비율은 14.9퍼센트로, 암보다 높은 1위를 차지했다.

이렇게 심장 질환은 현대인에게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다행히 심장병은 물리학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접근하면 의외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무엇보다 심장이라는 장기를 잘 이해하고 생활 습관을 바꾼다면, 선천성 심장 질환처럼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 생명이 위독할 정도로 심한 심장병이라도 수술을 하면 정상인으로 생활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장 혈관 흉부외과 전문의인 서울의료원장 이현석 박사가 그동안 진료실에서 만난 환자들이 궁금해하거나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냈다.

저자 이현석 박사는 심장 혈관 흉부외과 전문의이자 현재 국내 최대 규모 공공 병원인 서울의료원의 의료원장으로 재임 중이다. 고려대 의대를 졸업하고 의학 박사를 취득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1기 전공의로 수련받았고, 흉부외과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2006년에는 환자와 의사 간 소통의 중요성을 느껴 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설립을 주도하고 회장으로 활동했다. 이후 국내 최초 의료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의료원에서는 내부 소통을 살려 코로나 전담 병원 해제 이후 어려웠던 경영을 성장세로 전환시켰다. 전공의 공백으로 인한 의료 대란 상황에서도 의료진의 합심을 이끌어 정상적인 진료를 유지했다. 그 공로로 서울시병원회에서 경영 대상을 받기도 했다. 2018년부터 '디지털타임스'에 의학 칼럼을 연재하고 있으며, 시민 강좌와 저술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