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리얼미터 제공
/자료=리얼미터 제공

국민 10명 중 4명은 지하철 적자 문제 해결을 위해 무임승차 연령을 65세에서 70세 이상으로 상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는 28일 65세 이상 무임승차 등에 따른 지하철 적자 규모가 커진 가운데 가장 바람직한 해결 방안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무임승차 연령을 65세에서 70세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39.8%), '현행대로 65세 이상으로 하되, 손실은 중앙정부가 부담해야 한다'(22.6%), '무임승차 제도를 폐지하고 요금할인제를 도입해야 한다'(21.0%), '기타'(12.4%), '잘 모름'(4.2%)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무임승차 연령 상향 조정' 응답이 가장 높았는데 광주·전라(39.6%), 대구·경북(47.7%), 서울(45.3%), 경기·인천(37.7%), 부산·경남·울산(29.4%) 순이었다. 대전·충청·세종(23.8%)에서는 오차범위 내에서 '무임승차 제도 폐지, 요금할인제 도입' 응답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무임승차 연령 상향 조정' 응답이 가장 높았는데 60대 이상(52.3%), 50대(42.2%), 30대(38.8%), 40대(33.5%) 순이었다. 20대(37.9%)에서는 '무임승차 폐지, 요금할인제 도입' 응답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43.5%), 자유한국당 지지층(41.2%), 바른정당 지지층(39.0%), 무당층(35.7%) 순으로 '무임승차 연령 상향 조정'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정의당 지지층(36.3%), 국민의당 지지층(32.6%)에서는 '무임승차 연령 현행유지, 손실 중앙정부 부담' 응답이 가장 높거나 오차범위 내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념성향별로는 보수층(46.7%), 중도층(39.0%), 진보층(36.2%) 순으로 '무임승차 연령 상향 조정' 응답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실시한 것으로,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5명을 대상으로 지난 27일 무선(10%) 전화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식으로 실시했다. 응답률 5.3%, 신뢰수준 95%, 표본 오차 ±4.4%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