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방문은 전날인 21일 밤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의 결의에 따른 것으로 강 시장을 비롯해 임택 동구청장, 채은지 광주시의회 부의장, 정지성 인공지능산학연협회장, 이기훈 광주시민사회지원센터장 등 5명이 대표단으로 참석했으며 박균택 국회의원도 함께했다.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 성명서는 강 시장과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5개 자치구 구청장, 학계와 경제계, 종교·사회단체, 5·18단체 대표 등 80명의 이름으로 발표됐다.
참석자들은 성명에서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설립은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약속한 제1호 공약이자, 국가 AI 경쟁력 확보의 핵심 인프라"라며 "정부와 기업이 눈앞의 경제성 논리에만 매몰된다면 대한민국이 AI 선도국으로 도약할 기회를 잃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시는 이번 공모 과정에서 관련 기업들과 수개월간 실무 협의를 이어오며 GPU 즉시 투입, 부지 가격 인하, 전력요금 특례입법, 최대 1000억원 규모의 지원 등 실질적이고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해왔다.
그러나 최근 기업 측이 돌연 타지역으로 방향을 선회하자 지역사회에서는 "국가 전략사업이 기업 논리에 좌우돼서는 안 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민사회는 특히 "광주시민들은 대선에서 전국 최고 수준의 투표율로 새 정부 탄생에 기여했고 17만여 명이 참여한 범시민 서명운동으로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며 "이 사업은 단순한 지역개발이 아니라 국가 미래산업의 전략적 기반이자, 정부가 반드시 이행해야 할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면담 직후 지역 국회의원들과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으며 광주 지역 사회는 AI 중심도시 광주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축이 될 수 있도록 범시민적 대응을 이어가기로 했다.